정보마당 10건 전체보기
-
외부자금 조달 中企 67% "높은 대출금리가 최대 애로"- 중기중앙회 '복합 경제위기에 따른 금융이용 애로 실태조사' 결과 -- 中企 10곳 중 8곳 "금리 부담완화·인상자제 등 대책 가장 필요" - □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지난 11.7~11일 5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복합 경제위기에 따른 中企 금융이용 애로 실태조사」 결과를 16일발표했다. □조사결과,중소기업은 외부자금 조달 애로(복수응답)로 높은 대출금리(67.1%)를꼽아고금리 리스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ㅇ 실제 중소기업들은 자금 조달 금리가 연초에 비해2.2%p 상승(2.9→5.1%)했다고 답해같은 기간 기준금리 상승폭(1.75%p)보다큰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자금 조달시 필요자금 대비 확보한 자금의 비중은 '21~40%'(34.8%),'0~20%'(28.3%), '41~60%'(21.8%),'61~80%'(10.8%), '81% 이상'(4.3%) 순으로63.1%에 달하는 기업이 필요자금의 40% 이하로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원리금 상환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금리 상승률은 '2~3%p'(37.5%), '3~4%p'(28.6%),'4%p 이상'(25.5%), '1~2%p'(6.8%),'1%미만'(1.5%) 순으로조사됐다. □현재 가장 필요한 금융 정책으로응답 중소기업 80%가 금리 관련 대책인'금리부담 완화 정책'(46.4%)과'기준금리 이상 대출금리 인상 자제'(33.6%)를꼽았으며,다음으로는신규자금 대출 확대(10.6%), 대출금 장기분할 상환제도 마련(5.0%) 순으로 답했다. □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기준금리보다 가파르게 오르는 대출 금리로 인해 고금리 리스크는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ㅇ “이차보전과 저금리 대환대출과 같은 정부의 적극적인금융 지원과금융권의 과도한대출금리 상승 자제를 통해 중소기업의 고금리 애로를 함께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붙 임 : 조사 보고서 1부. 끝.
정보마당 > 보도자료 2022.11.16 -
중소기업 44.2% "올해 자금사정 작년보다 악화"- 은행대출 애로사항 중에선 '높은 대출금리(33.0%)가 첫손 -- 중기중앙회 '2021년 중소기업 금융이용 및 애로실태 조사' 결과 -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지난 12월 15일부터 24일까지 5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중소기업 금융이용 및 애로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 올해 중소기업 자금사정에 대해서는 △악화되었다는 의견이 44.2%로 나타났다. ◦자금사정이 악화된 원인으로는 '원부자재 가격상승' 때문이라고 응답(복수응답)한 비율이 53.4%로 작년(29.2%)보다 크게 증가(24.2%p↑)하여, 글로벌 공급망 문제 등으로 인한 중소기업 피해가 상당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외에는 △판매부진(52.5%), △인건비 상승(27.1%) 순으로 나타났다. □은행을 통한 자금조달시 애로사항에 대해서는 높은 대출금리(33.0%)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과도한 서류제출 요구(27.5%), 대출한도 부족(24.2%), 매출액 등 재무제표 위주의 심사(15.4%) 순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높은 대출금리'로 응답한 비율은 지난해 보다 11.2%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많은 중소기업들이 금리인상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중소기업에 필요한 금융지원 과제로는 △정책자금 지원확대(52.0%), △경기불황시 중기대출 축소관행 개선(49.0%), △담보대출 의존관행 개선(30.8%) 순으로 나타났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코로나 팬데믹 장기화로 인해 2021년 중소기업 자금사정이 악화되었고, 2022년 전망도 불투명한 상황”이라며, ◦“코로나19로 인한 매출감소나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수익성이 악화된 상황이므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위기를 극복해 나갈 수 있도록 급격한 금리인상 지양, 대출만기 추가연장, 별도의 중기 신용평가 기준 마련 등 정부의 선제적인 금융정책 지원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붙임 : 조사보고서 1부. 끝.
정보마당 > 보도자료 2021.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