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1,295 건
-
조사목적 : 중소제조업의 직종별 임금(일급)을 파악하여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시 제조원가계산의 기준이 되는 노무비 산정의 기초자료 제공 ※ 주의사항 1. 평균 조사노임(일급)은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시 제조원가계산의 기준이 되는 노무비 산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만 활용되며, 그 외의 용도로 사용될 수 없음 2. 유급휴일(주휴)수당은 직종별 평균 조사노임(일급)에 포함되어 있지 않음 ㅇ 조사근거 : 통계법 제17조에 의한 지정통계(승인번호 : 제340005호)「국가를당사자로하는계약에관한법률」 시행규칙 제7조 ㅇ 조사기간- 조사 기준일 : 2022. 8. 31.- 조사 대상기간 : 2022. 8. 1. ~ 8. 31.- 조사 실시기간 : 2022. 9. 5. ~ 10. 28. ㅇ 조사대상 : 한국표준산업분류상 매출액 30억원 이상 중소제조업 1,400개업체(단, 산업중분류 기준 12. 19. 업종은 제외) ㅇ 본 평균 조사노임(일급)의 적용시점 : 2023. 1. 1. ㅇ 붙임 : 조사결과보고서 1부. ※ 중소제조업 직종별 임금조사(제조노임단가) 결과는 연 2회(상반기,하반기)로 공표되며, 2023년 상반기 중소제조업 직종별 임금조사는 2023년 6월 30일 발표될 예정입니다.
정보마당 > 조사연구통계 > 간행물 > 중소기업분석통계 2022.11.24 -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법 제8조 및 동 시행령 제6조의 규정에 의하여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고, 중소기업중앙회가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합니다. - 다 음 - ㅇ 조사목적 :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관련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효과적인 중소기업 기술 지원정책 수립, 추진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ㅇ 조사근거 -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법 제8조(중소기업 기술통계의 작성)(법정통계조사) - 통계법 제18조(통계작성의 승인)에 의한 국가승인통계(제340006호) ㅇ 조사기간 : 2020. 6월~10월 (조사기준일 : 2019. 12. 31.) ㅇ 조사대상 : 4,000개사(표본조사) - 제조업 3,363개사, 제조업 외 637개사 ㅇ 조사방법 : 조사원을 활용한 면접조사를 기본으로 하고 이메일, FAX조사 부가실시 ㅇ 조사항목 - 기술개발 활동 및 투자현황 - 기술개발 조직 및 인력현황 - 기술경쟁력 및 기술수준 - 시험·검사장비 - 기술개발 성과 - 기술개발 애로요인 - 기술개발 지원제도 평가 ㅇ 관련문의 : 중소기업중앙회 조사통계부(02-2124-3152)
정보마당 > 조사연구통계 > 간행물 > 중소기업분석통계 2020.12.31 -
ㅇ 조사목적 : 중소제조업의 직종별 임금(일급)을 파악하여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시 제조원가계산의 기준이 되는 노무비 산정의 기초자료 제공 ※ 주의사항 1. 평균 조사노임(일급)은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시 제조원가계산의 기준이 되는 노무비 산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만 활용되며, 그 외의 용도로 사용될 수 없음 2. 유급휴일(주휴)수당은 직종별 평균 조사노임(일급)에 포함되어 있지 않음 ㅇ 조사근거 : 통계법 제17조에 의한 지정통계(승인번호 : 제340005호)「국가를당사자로하는계약에관한법률」 시행규칙 제7조 ㅇ 조사기간- 조사 기준일 : 2021. 3. 31.- 조사 대상기간 : 2021. 3. 1 ~ 3. 31.- 조사 실시기간 : 2021. 4. 26 ~ 5. 31. ㅇ 조사대상 : 한국표준산업분류상 매출액 30억원 이상 중소제조업 1,400개업체(단, 산업중분류 기준 12. 19. 업종은 제외) ㅇ 본 평균 조사노임(일급)의 적용시점 : 2021. 7. 1. ㅇ 붙임 : 조사결과보고서 1부. ※ 중소제조업 직종별 임금조사(제조노임단가) 결과는 2021년 2회(상반기,하반기)로 공표되며, 하반기에는 11월말 ~ 12월초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정보마당 > 조사연구통계 > 간행물 > 중소기업분석통계 2021.06.25 -
조사목적 : 중소제조업의 직종별 임금(일급)을 파악하여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시 제조원가계산의 기준이 되는 노무비 산정의 기초자료 제공 ※ 주의사항 1. 평균 조사노임(일급)은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시 제조원가계산의 기준이 되는 노무비 산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만 활용되며, 그 외의 용도로 사용될 수 없음 2. 유급휴일(주휴)수당은 직종별 평균 조사노임(일급)에 포함되어 있지 않음 ㅇ 조사근거 : 통계법 제17조에 의한 지정통계(승인번호 : 제340005호)「국가를당사자로하는계약에관한법률」 시행규칙 제7조 ㅇ 조사기간- 조사 기준일 : 2021. 8. 31.- 조사 대상기간 : 2021. 8. 1 ~ 8. 31.- 조사 실시기간 : 2021. 9. 8. ~ 10. 27. ㅇ 조사대상 : 한국표준산업분류상 매출액 30억원 이상 중소제조업 1,400개업체(단, 산업중분류 기준 12. 19. 업종은 제외) ㅇ 본 평균 조사노임(일급)의 적용시점 : 2022. 1. 1. ㅇ 붙임 : 조사결과보고서 1부. ※ 중소제조업 직종별 임금조사(제조노임단가) 결과는 2021년 2회(상반기,하반기)로 공표되며, 2022년 상반기 중소제조업 직종별 임금조사는 2022년 6월 말 발표될 예정입니다.
정보마당 > 조사연구통계 > 간행물 > 중소기업분석통계 2021.11.26 -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법 제8조 및 동 시행령 제6조의 규정에 의하여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고, 중소기업중앙회가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합니다. - 다 음 - ㅇ 조사목적 :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관련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효과적인 중소기업 기술 지원정책 수립, 추진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ㅇ 조사근거 -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법 제8조(중소기업 기술통계의 작성)(법정통계조사) - 통계법 제18조(통계작성의 승인)에 의한 국가승인통계(제340006호) ㅇ 조사기간 : 2021. 7. 12. ~ 2021. 10. 27. (조사기준일 : 2020. 12. 31.) ㅇ 조사대상 : 4,000개사(표본조사) - 제조업 3,316개사, 제조업 외 업종 684개사 ㅇ 조사방법 : 조사원을 활용한 면접조사를 기본으로 하고 이메일, FAX조사 부가실시 ㅇ 조사항목 - 기술개발 활동 및 투자현황 - 기술개발 조직 및 인력현황 - 기술경쟁력 및 기술수준 - 시험·검사장비 - 기술개발 성과 - 기술개발 애로요인 - 기술개발 지원제도 평가 ㅇ 관련문의 : 중소기업중앙회 조사통계부(02-2124-3152)
정보마당 > 조사연구통계 > 간행물 > 중소기업분석통계 2021.12.30 -
조사목적 : 중소제조업의 직종별 임금(일급)을 파악하여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시 제조원가계산의 기준이 되는 노무비 산정의 기초자료 제공 ※ 주의사항 1. 평균 조사노임(일급)은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시 제조원가계산의 기준이 되는 노무비 산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만 활용되며, 그 외의 용도로 사용될 수 없음 2. 유급휴일(주휴)수당은 직종별 평균 조사노임(일급)에 포함되어 있지 않음 ㅇ 조사근거 : 통계법 제17조에 의한 지정통계(승인번호 : 제340005호)「국가를당사자로하는계약에관한법률」 시행규칙 제7조 ㅇ 조사기간- 조사 기준일 : 2022. 3. 31.- 조사 대상기간 : 2022. 3. 1. ~ 3. 31.- 조사 실시기간 : 2022. 4. 5. ~ 5. 20. ㅇ 조사대상 : 한국표준산업분류상 매출액 30억원 이상 중소제조업 1,400개업체(단, 산업중분류 기준 12. 19. 업종은 제외) ㅇ 본 평균 조사노임(일급)의 적용시점 : 2022. 7. 1. ㅇ 붙임 : 조사결과보고서 1부. ※ 중소제조업 직종별 임금조사(제조노임단가) 결과는 연 2회(상반기,하반기)로 공표되며, 2022년 하반기 중소제조업 직종별 임금조사는 2022년 11월 30일 발표될 예정입니다.
정보마당 > 조사연구통계 > 간행물 > 중소기업분석통계 2022.06.17 -
ㅇ 조사목적 : 중소제조업의 직종별 임금(일급)을 파악하여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시 제조원가계산의 기준이 되는 노무비 산정의 기초자료 제공 ※ 주의사항 1. 평균 조사노임(일급)은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시 제조원가계산의 기준이 되는 노무비 산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만 활용되며, 그 외의 용도로 사용될 수 없음 2. 유급휴일(주휴)수당은 직종별 평균 조사노임(일급)에 포함되어 있지 않음 ㅇ 조사근거 : 통계법 제17조에 의한 지정통계(승인번호 : 제340005호)「국가를당사자로하는계약에관한법률」 시행규칙 제7조 ㅇ 조사기간- 조사 기준일 : 2020. 8. 31- 조사 대상기간 : 2020. 8. 1 ~ 8. 31- 조사 실시기간 : 2020. 9. 1 ~ 10. 31 ㅇ 조사대상 : 한국표준산업분류상 매출액 30억원 이상 중소제조업 1,400개업체(단, 산업중분류 기준 12. 19. 업종은 제외) ㅇ 본 평균 조사노임(일급)의 적용시점 : 2021. 1. 1. ㅇ 붙임 : 1. 조사결과보고서 1부. 2. 전 직종명으로 새 직종명 비교파일 1부. 끝. ※ 중소제조업 직종별 임금조사(제조노임단가) 결과는 2020년 2회(상반기,하반기) 공표됩니다.
정보마당 > 조사연구통계 > 간행물 > 중소기업분석통계 2020.11.30 -
3월 중소기업경기전망지수 90.6, 전월대비 9.0p 상승 - 기저효과에 계절적 비수기 벗어나면서 경기호전 기대 - - 경영애로로 '인건비 상승'이 전월에 이어 최다 응답 - □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가 지난 2월 12일부터 2월 20일까지 3,1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018년 3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업황전망 중소기업건강도지수(SBHI)가 전월보다 9.0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조업에서는 전월대비 기저효과가 발생하였고 3월 이후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경제 긍정심리가 확산되는 한편, 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이 계절적 비수기를 벗어난다는 기대심리가 작동하면서 경기상승 전망을 주도한 것으로 분석된다. □ 업황전망 3월 업황전망 중소기업건강도지수는 90.6으로 전월에 대한 기저효과와 계절적 비수기를 벗어난다는 기대감으로 전월대비 9.0p 상승, 전년동월대비 0.6p 상승하였다. 제조업은 전월대비 10.4p 상승한 93.1로 나타났고, 비제조업에서도 전월대비 8.1p 상승하였는데, 건설업이 전월대비 14.4p 상승하고 서비스업이 전월대비 6.5p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업황전망 SBHI 구 분 '17.3월 9월 10월 11월 12월 '18.1월 2월 (A) 3월 (B) 전월비 (B-A) 업황전망 SBHI 90.0 91.7 81.7 91.6 89.1 84.3 81.6 90.6 9.0 업종별 제조업 90.8 90.5 83.9 91.6 86.5 83.9 82.7 93.1 10.4 비제조업 89.4 92.6 80.1 91.6 91.1 84.6 80.8 88.9 8.1 ·건 설 업 89.5 90.2 80.9 89.1 86.5 78.2 73.2 87.6 14.4 ·서비스업 89.3 93.3 79.9 92.2 92.2 86.2 82.7 89.2 6.5 ㅇ 항목별로는 내수판매전망(81.2→90.5), 수출전망(87.3→94.2), 영업이익전망(78.3→86.1), 자금사정전망(76.8→82.8), 고용수준전망(96.1→96.4) 등 전체적으로 상승하여, 중소기업인들은 명절로 인해 조업일수가 짧았던 2월에 비해 3월 이후의 경기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변동 항목별 전망 SBHI(전산업) 경기변동 항목 '17.3월 9월 10월 11월 12월 '18.1월 2월 (A) 3월 (B) 전월비 (B-A) 변화 방향 내 수 판 매 89.8 91.5 81.2 91.6 88.2 84.4 81.2 90.5 9.3 수 출 91.6 92.1 88.3 95.4 88.3 92.3 87.3 94.2 6.9 영업이익 85.7 88.4 80.3 87.2 84.5 81.0 78.3 86.1 7.8 자 금 사 정 81.6 85.7 79.6 85.5 82.5 80.3 76.8 82.8 6.0 수준 판단 고 용 수 준 95.0 95.4 95.6 96.6 96.5 96.5 96.1 96.4 0.3 ㅇ 업종별로 제조업은 '비금속광물제품'(78.0→107.4), '금속가공제품'(81.1→99.6)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77.3→94.8) 등 거의 모든 업종에서 상승한 반면, '식료품'(97.3→95.0) 업종만 유일하게 하락하였다. ㅇ 비제조업은 계절적 비수기를 벗어난다는 기대감으로 건설업(73.2→87.6)이 대폭 상승한데 이어, 서비스업(82.7→89.2) 역시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76.0→103.7), '숙박 및 음식점업'(65.2→89.3), '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74.8→92.6) 등 '부동산업 및 임대업'(90.0→85.6)을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상승하였다. □ 업황실적 '18년 2월 업황실적 중소기업건강도지수(SBHI)는 75.1로 전월대비 3.0p 하락하였으나, 전년동월대비로는 1.6p 상승하였다. 그 중 제조업은 전월대비 3.3p 하락한 75.2를 기록하였고, 비제조업은 전월대비 2.7p 하락한 75.1을 기록하여 부진하였는데, 이는 건설업이 전월대비 2.6p 하락한 68.7, 서비스업이 전월대비 2.8p 하락한 76.7을 기록한 데 기인하였다. 업황실적 SBHI 구 분 '17.2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8.1월 (A) '18.2월 (B) 전월비 (B-A) 업황실적 SBHI 73.5 80.4 89.6 80.3 86.6 85.2 78.1 75.1 △3.0 업종별 제조업 77.8 79.3 89.7 80.2 86.3 83.7 78.5 75.2 △3.3 비제조업 70.3 81.2 89.5 80.4 86.9 86.2 77.8 75.1 △2.7 ·건 설 업 67.6 82.7 82.7 85.0 82.4 87.2 71.3 68.7 △2.6 ·서비스업 71.0 80.8 91.3 79.2 88.1 86.0 79.5 76.7 △2.8 □ 경영애로 '18년 2월 중소기업 경영애로(복수응답) 응답을 보면 '인건비 상승' (59.7%)이 전월에 이어 최다 애로사항으로 조사되었고, 이어 '내수부진' (56.1%), '업체간 과당경쟁'(38.0%), '원자재 가격상승'(24.7%) 순으로 나타났다. 전월에 이어 '인건비 상승'이 중소기업의 최다 경영애로사항으로 조사되었는데, 특히 노동집약적인 업종인 '자동차 및 트레일러', '인쇄·기록매체 복제업' 등 경공업부문의 제조업과 비제조업의 '숙박 및 음식점업'과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 등의 업종에서 인건비 상승의 부담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 평균가동률 '18년 1월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2.4%로 전월대비 1.0%p 하락 및 전년동월대비 1.1%p 하락하였고, 내수부진과 원자재 가격상승 영향을 많이 받는 소기업은 전월대비 1.5%p 하락한 69.3%, 인건비 상승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은 중기업은 전월대비 0.3%p 하락한 77.0%로 나타났다.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 추이(%) 구 분 장기평균 '17.1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A) '18.1 (B) 전월비 (B-A) 중소제조업 72.1 73.5 72.5 74.2 72.3 73.5 73.4 72.4 △1.0 소기업(5인 ~49인) 70.0 71.3 70.5 72.1 70.4 71.3 70.8 69.3 △1.5 중기업(50인 이상) 76.4 76.5 75.2 77.2 74.8 76.7 77.3 77.0 △0.3 □ 지난 1년 평균치와 비교 '18년 3월의 전망치와 지난 1년간 분야별 전망평균치와 비교해보면 제조업에서는 경기전반, 생산, 내수, 수출, 영업이익 전망에서는 확대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비제조업의 경우에는 수출전망은 감소하고 경기전반 및 내수 전망치가 지난 1년 평균적인 전망치보다 소폭 확대되었으나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전망구분 제조업 전망치 비제조업 전망치 최근1년 평균 ('17.2~'18.2) 2018.3월 최근1년 평균 ('17.2~'18.2) 2018.3월 경기전반 87.3 93.1 87.1 88.9 생 산 89.0 96.0 - - 내수판매 86.7 93.2 86.7 88.6 수 출 89.7 95.2 94.0 89.4 영업이익 83.0 87.8 84.0 84.9 자금사정 81.9 83.3 82.0 82.4 원 자 재 96.3 94.8 - - 설 비 104.2 103.0 - - 재 고 104.2 103.0 - - 고 용 97.9 97.5 94.6 95.6 □ 조사 개요 ㅇ 조사 기간 : 2018. 2. 12. – 2. 20. ㅇ 조사 대상 : 중소기업 3,150개(제조업 1,500개. 비제조업 1,650개) - 총 3,046개 회수(제조업 1,435개, 비제조업 1,611개) ㅇ 조사 업종 : 표본산업분류 기준 47개 중분류업종(제조업 22개, 비제조업 25개) ㅇ 조사 방법 : 웹팩스 및 이메일 조사 병행 ㅇ 작성 기관 : 중소벤처기업부·중소기업중앙회 □ 중소기업건강도지수(SBHI : Small Busi ess Health I dex) ㅇ 업종·중소규모별 SBHI = (매우나쁨응답빈도×0+다소나쁨응답빈도×50+동일응답빈도×100 +다소좋음응답빈도×150+매우좋음응답빈도×200) / 전체 응답빈도수 ㅇ 2015년 경제총조사 매출액 자료 이용, 가중치를 가중 평균한 종합지수 작성 SBHI = × SBHI * : 업종별·중소규모별 매출액에 따른 가중치 * SBHI : 각 업종별·중소규모별 경기지수 □ 참고사항 ㅇ 통계표상 평균가동률의 장기평균은 2010년 1월∼2017년 12월의 평균임 ㅇ 제조업 계절조정지수 : X12-ARIMA방법론을 사용한 계절조정지수로, 제조업 전망, 실적, 평균가동률상 매년 반복되어 나타나는 계절요인을 제거하여 단기지수 비교시 참고자료로 활용
정보마당 > 보도자료 2018.02.23 -
ㅇ 조사목적 : 중소제조업의 직종별 임금(일급)을 파악하여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시 제조원가계산의 기준이 되는 노무비 산정의 기초자료 제공 ※ 주의사항 1. 평균 조사노임(일급)은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시 제조원가계산의 기준이 되는 노무비 산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만 활용되며, 그 외의 용도로 사용될 수 없음 2. 유급휴일(주휴)수당은 직종별 평균 조사노임(일급)에 포함되어 있지 않음 ㅇ 조사근거 : 통계법 제17조에 의한 지정통계(승인번호 : 제340005호) 「국가를당사자로하는계약에관한법률」 시행규칙 제7조 ㅇ 조사기간 - 조사 기준일 : 2020. 3. 31 - 조사 대상기간 : 2020. 3. 1 ~ 3. 31 - 조사 실시기간 : 2020. 4. 1 ~ 6. 15 ㅇ 조사대상 : 한국표준산업분류상 매출액 30억원 이상 중소제조업 1,400개업체 (단, 산업중분류 기준 12. 19. 업종은 제외) ㅇ 본 평균 조사노임(일급)의 적용시점 : 2020. 7. 1. ㅇ 붙임 : 1. 조사결과보고서 1부. 2. 전 직종명으로 새 직종명 비교파일 1부. 끝. ※ 중소제조업 직종별 임금조사(제조노임단가) 결과는 2020년 2회(상반기,하반기)로 공표되며, 하반기에는 11월말 ~ 12월초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정보마당 > 조사연구통계 > 간행물 > 중소기업분석통계 2020.06.30 -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법 제8조 및 동 시행령 제6조의 규정에 의하여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고 중소기업중앙회가 조사한중소기업기술통계조사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하며, 결과보고서를 첨부합니다.- 다 음 -○ 조사목적 :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관련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효과적인 중소기업 기술 지원정책 수립․추진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 조사기간 : 2019. 6월~10월 (조사기준일 : 2018. 12. 31.)○ 조사대상 : 3,800개사(표본조사) - 제조업 3,201개사, 제조업 외 599개사○ 조사방법 : 조사원을 활용한 면접조사를 기본으로 하고 이메일, FAX조사 부가실시○ 조사항목 : 기술개발 활동 및 투자현황 등 68개 항목(세부항목은 붙임 결과보고서 참조○ 유의사항 : 2019년도 조사 모집단은 새로운 표본틀(Sampling Frame)을 구성하여 조사한 내용으로 2018년도 조사 모집단과 차이가 있으며,특히 신규 표본틀 구축시 영세기업, 기술개발 초기 기업이 추가로 편입되어 조사결과의 직접적 비교시 유의 바랍니다.
정보마당 > 조사연구통계 > 간행물 > 중소기업분석통계 2019.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