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본부 35 건
-
소관부처·지자체해양수산부사업수행기관수협중앙회신청기간2025.03.12 ~ 2025.03.26 사업개요국내 수산식품 수출업체의 거래선 확대 및 수출 증진을 위한 「2025년 무역상담회(2차) 사업」 참가업체를 아래와 같이 모집하오니 참가를 희망하는 업체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 해외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수산식품 수출업체(대기업 제외)☞ 온라인 쇼케이스 및 오프라인 무역상담회 지원(통역서비스, 숙박비 등 지원)사업신청 방법온라인 접수 (온라인 사업신청 통합시스템)문의처수협중앙회 무역사업부 02-2240-5604
지역본부 > 대구지역본부 > 공지사항 2025.03.14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는 업종별 대기업과 함께 지역 중소기업의 안전보건 수준 향상 활동을 지원하는 대·중소기업 안전보건 상생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관심 있으신 중소기업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가. 지원사업 개요 ㅇ 사 업 명 : 대·중소기업 안전보건 상생협력사업 ㅇ 참여대상 : 전체 중소기업(업종·규모 제한 없음) ㅇ 소요비용 : 없음(100% 무상 지원) ※ 모기업 30%, 정부 70% 부담 ㅇ 지원내용 - 안전보건 물품 무상 지원 - 폭발위험·화학물질 위험성평가, 근골격계질환 작업개선 컨설팅 - 안전보건 교육, 근로자 휴게시설 조성, 작업환경 측정비용 등나. 신청방법 ㅇ 붙임1 대기업 리스트에서 '같이하고 싶은 모기업' 선택 후 붙임2 신청서 양식에 따라 12. 6(금) 12:00까지 제출 - 회 신 처 :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실(이메일 : smsfes@kbiz.or.kr / 팩스 : 02-786-1892 / 전화 : 02-2124-3272) ※ 주의사항 * 참여조사표 제출 시 자동으로 지원대상에 선정되는 것은 아님 * 지원대상 선정여부는 안전보건공단(모기업)에서 결정하여 개별 중소기업으로 별도 연락 예정(25.1월 이후) 다. 사업문의 - 안전보건공단 자율안전사업부(이메일 : jmch94@kosha.or.kr / 전화 : 052-703-0631, 0635) -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실(이메일 : leescno2@kbiz.or.kr / 전화 : 02-2124-3272)붙임. 사업안내문 등 서류 1부. 끝.
지역본부 > 대구지역본부 > 공지사항 2024.11.26 -
2024년도 중소기업중앙회장 포상 신청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안내드리오니 많은 신청 바랍니다. 가. 포상부문 및 수여대상 ㅇ 우수경영자 : 중소기업 경영자(임원급 이상) ㅇ 모범근로자 : 중소기업 또는 연합회(조합,단체) 직원(임원 제외) ㅇ 협동조합 발전유공자 - 유관기관(단체), 대기업, 학계, 연구기관 또는 그 임직원 및 공무원 - 연합회(조합,단체) 회장(이사장) 및 전무(상근)이사 나. 신청방법 ㅇ 지역 중소기업 및 유관기관(단체)은 지역본부로 포상 접수 * 협동조합 및 연합회는 협동조합포털(https://sc.kbiz.or.kr)을 통해 직접 신청 다. 제출서류 ㅇ 신청공문, 공적조서 및 동의서(붙임 양식 활용), 사업자등록증 사본 각 1부 라. 유의 및 참고사항 ㅇ 총회 등 포상 수여 행사 개최일 최소 2주 전 신청 요망별첨 : 2024년도 중소기업중앙회장 포상 기본계획(양식포함) 1부. 끝.
지역본부 > 경북지역본부 > 공지사항 2024.01.04 -
지난 10년간 부산·울산경제 꾸준한 성장에도 수도권과 경제 양극화 심화- 지역 맞춤형 혁신인프라 지원, 규제특례 적용, 중소기업 혁신 성장 절실 -□ 중소기업중앙회 부산울산지역본부(부산울산회장 허현도)가 '21년∼'22년 기준 경제지표를 분석한 결과, 지난 10년간 부산·울산은 지역 기업과 경제가 꾸준히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수도권과 경제 양극화 현상은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21년 기준 부산의 지역내총생산은 10년 전보다 44.1% 증가한 98조6,520억 원으로 전국에서 6번째로 높았다. - 울산의 지역내총생산은 77조6,830억 원으로 10년 전 대비 증가율(13.1%)이 전국에서 가장 낮아, 지역내총생산이 부산에 역전 당했다. ㅇ '21년 기준 부산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는 2,965만 원으로 10년 전에 비해 50.5%(약 1,000만원)가 증가했으나, 1인당 GRDP가 가장 높은 울산과는 2배 이상 차이 나며 전국 최하위 권을 기록했다. - 울산의 1인당 GRDP는 6,913만 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으나, 10년 전과 비교한 증가율은 11.9%로 전국 최하위를 기록했다. □ '22년 기준 부산 전체 인구에서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68.7%로 10년 전 대비 감소폭(-6.3%p)이 전국에서 가장 커 생산가능인구 비중 감소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울산도 10년 전보다 생산가능인구 비중이 3.3%p 감소하였고, 감소폭은 전국 네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22년 기준 부산의 임금근로자 중 상용직 비중은 67.3%로 수도권 및 6대 광역시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용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약 364만 원으로 10년 전보다 34.3% 증가했지만, 여전히 서울의 월평균 임금(455만 원)보다 20% 적은 수준으로 수도권과의 임금 격차는 좁혀지지 않았다. ㅇ 울산의 임금근로자 중 상용직 비중은 76.4%로 세종(86.4%)에 이어 전국 두 번째로 높은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용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약 453만 원으로 서울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21년 기준 부산 기업체의 연구개발비는 8,560억원으로 10년 전보다 80.6% 증가하여 수도권과 6대 광역시 중 4번째로 많이 증가했지만, 전국 연구개발비의 약 80%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부산과 수도권의 차이는 상당했다. ㅇ 울산 기업체의 연구개발비는 8,620억원으로 10년 전보다 29.8% 증가하여 수도권과 6대 광역시 중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ㅇ '21년 기준 부산의 경제활동인구 천 명당 기업체 R D 인력은 6.9명으로 수도권 및 6대 광역시 중 2번째로 낮은 수준으로, R D 인력이 가장 많은 경기도와는 4배 이상의 차이를 나타냈다. - 울산의 경제활동인구 천 명당 기업체 R D 인력은 9.5명으로 부산보다는 소폭 많지만, 전국 평균(11.8명)보다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ㅇ 부산의 고성장기업 및 가젤기업과 창업기업 수 비중은 수도권 다음으로 많은 5%대를 차지했지만, 서울, 경기지역에 절반 이상이 집중되어 있어 부산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수도권보다 현저히 낮았다. - 울산의 고성장 및 가젤기업과 창업기업 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2% 미만으로 전국 최하위 권에 머물렀다. □ 허현도 중소기업중앙회 부산울산회장은 “현재 부산·울산은 심각한 인구 고령화, 생산인구 유출, 기업의 혁신역량 부족 문제 등으로 수도권과의 경제적 격차가 극심한 상황이다.”라며, “지역 맞춤형 혁신인프라 지원, 지방 이전 대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및 규제 특례 적용, 지역경제핵심 주체인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강화 등을 통해 수도권과의 양극화 및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해 나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지역본부 > 부산울산지역본부 > 공지사항 2023.07.04 -
중소기업중앙회에서는 중기부, 삼성과 함께 추진하는 2022년 「대·중소 상생형(삼성) 스마트공장 지원사업」과 관련하여, 동 사업의 지원기업을 10. 11(화)부터 추가 모집합니다. 다 음 - 가. 추가 접수 기간 지원유형추가 모집기간유형1고도화중간2(S)10. 11(화) ~ 10. 21(금) (4차 모집)중간1(A)기초기초(B) 나. 신청 자격 ㅇ 국내 중소․중견 제조기업 ※ 국내 중소․중견 제조기업 : 「중소기업기본법」에 따른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중견기업 다. 지원 조건 구 분유형1S (고도화2)A (고도화1)B (기초)지원대상스마트공장 구축 목표중간2 수준스마트공장 구축 목표중간1 수준스마트공장 구축 목표 기초 수준 이상지원규모(모집규모)최대 2억원(10개사 내외)최대 1억원(70개사 내외)최대 6천만원(110개사 내외)지원비율정부·대기업 : 도입기업 = 6 : 4 매칭비 고기존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에 참여했던 기업이 추가지원을 희망하는 경우 ① 구축수준 향상에 한하여 지원② 수준향상이 없는 경우 B형으로 1회에 한하여 참여 가능(최근 기준) * 기존 중간1수준 구축기업의 경우 B형으로 중간1수준 구축 필수 ** 수준확인 기업도 기존 지원사업 참여와 동일하게 적용 라. 접수방법 :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 온라인 접수 ㅇ 사업관리시스템(www.smart-factory.kr)접속 - 도입기업 로그인 - 사업안내 - 사업공고 - 공고명 '2022 대중소상생형(삼성) 스마트공장 구축(유형1)' 접수신청 - 기업정보 입력 및 사업계획서(관련 서류 포함) 업로드 후 '제출완료' 클릭 * 사업계획서 등 양식은 중소기업중앙회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및 작성 활용 ㅇ 제출서류 : 사업계획서 및 첨부서류 등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 업로드 마. 문의처 : 중소기업중앙회 스마트산업부 (☏ 02-2124-3392/4311/4313~4/4371~3) ㅇ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중앙회 홈페이지(www.kbiz.or.kr) 참조 ※ 중앙회 홈페이지 → 지원사업 → 스마트공장(서비스) → 공지사항 → [4차 추가 접수안내] 2022년 『대·중소 상생형(삼성)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도입기업 모집 공고 참조 ※ 사업 안내 링크 : https://url.kr/9xwj7n※ 2022년 사업 설명 영상물 : https://url.kr/mzsgry 붙임 1. 공고문_4차추가모집 1부. 2. 모집일정안내_4차추가모집 1부. 끝.많은 참여 바랍니다.
지역본부 > 인천지역본부 > 공지사항 2022.10.14 -
중소기업중앙회가 중기부, 삼성과 함께 추진하는 2021년 「대․중소 상생형(삼성)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 공고(6.25)에 따라 다음과 같이 참여기업을 모집하오니 적극적인 참여 부탁드립니다. 다 음 - 가. 사업계획서 신청 기간 ㅇ 유형 1-A, 1-B : 2021. 7. 2(금) ~ 7. 15(목) ㅇ 유형 2-C : 2021. 7. 2(금) ~ 7. 8(목) 나. 신청 자격 ㅇ 국내 중소․중견 제조기업 ※ 국내 중소․중견 제조기업 : 「중소기업기본법」에 따른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중견기업 ㅇ 유형 2-C는 '소기업'으로 한정·기 구축기업은 신청불가 다. 지원 조건 구 분유형1유형2ABC지원대상스마트공장 구축 후목표수준 중간1스마트공장 구축 후목표수준 기초/중간1스마트공장 구축 후목표수준 기초(소기업 한정)지원규모최대 1억원(70개사 내외)최대 6천만원(100개사 내외)최대 2천만원(130개사 내외)지원비율정부·대기업 : 도입기업 = 6 : 4 매칭정부·대기업 지원 100%비 고기존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에 참여했던 기업이 추가지원을 희망하는 경우 ① 구축수준 향상에 한하여 지원② 수준향상이 없는 경우 B형으로 1회에 한하여 참여가능* 기존 중간1수준 구축기업의 경우 B형으로 중간1수준 구축 필요 라. 접수방법 :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www.smart-factory.kr) 온라인 접수 ㅇ 사이트 접속 → 회원가입(기업) → 과제신청 메뉴 → 제출서류 다운로드 및 작성 → 온라인 신청(제출서류 업로드, 도입기업 아이디로 신청) ㅇ 제출서류 : 사업신청서 및 사업자등록증명원 등(온라인 접수 시 첨부) ㅇ 자세한 내용은 중앙회 홈페이지 및 협동조합 포털 공지사항 참조 ■ 중앙회 홈페이지 → 지원사업 → 스마트공장 → 공지사항 → [사업공고] 2021년 대·중소 상생형(삼성)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공고 및 접수안내 참조 ■ 협동조합 포탈 → 통합게시판 → 공지사항 → 협동조합 공지사항 → (60224) 2021년 대·중소 상생형(삼성)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공고 및 접수안내 참조 붙임 2021년 대중소 상생형(삼성)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사업공고 1부. 끝.
지역본부 > 대구지역본부 > 공지사항 2021.06.30 -
서울문화재단애서는 기업과 협력하여 문화예술단체의 창작활동을 지원하고, 기업의 문화예술 메세나 활동을 확대하는 2021년 서울메세나 지원사업 의 참여 예술단체 및 후원기업을 아래와 같이 모집하고 있습니다. 가. 2021년 서울메세나 지원사업 모집 개요접수 기간2021. 3. 2.(화) ~ 3. 17.(수) 18:00까지 ※ 마감기한 내 접수분에 한함(시간엄수)접수 방법국가문화예술지원시스템(www.ncas.or.kr) 접수공모 내용서울문화재단과 기업의 협력을 통한 예술단체 프로젝트(작품) 지원지원 대상2021년 서울에서 발표되는 예술작픔을 기획중인, 후원기업이 확정된 예술단체지원 내용기업기부금에 최대 100%(*건당 최대 2,000만원 한도 내)까지 재단지원금을 매칭하여 예술단체 프로젝트(작품) 지원 ※ 심의를 통한 최종 매칭 지원금 결정선정 건수※선정건수는 신청사업의 특성에 따라 지원금이 상이하므로 예산 내에서 유동적으로 정함 (예년기준: 25여건 내외 선정 예정) 교부 예산재단매칭지원금: 총 340,000천원 (※기업기부금 별도) ○ 참여 예술단체 접수 기간2021. 3. 2.(화) ~ 3. 17.(수) 18:00까지 ※ 마감기한 내 접수분에 한함(시간엄수)지원 내용서울문화재단과 기업의 협력을 통한 예술단체 프로젝트(작품) 지원신청 자격예술단체의 프로젝트에 대한 후원을 확정한 기업(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공기업) ※ 중소∙중견기업의 경우 심사시 가산점 부여※ 예술단체 지원을 희망하나 후원 예정인 특정 예술단체가 없는 기업의 경우도 신청 가능하며,일정금액이상 모금 달성 시, 향후 재단지원금과 함께 예술단체를 지원할 수 있음. (해당 경우 사전 별도 문의) 기업기부금신청 규모기업기부금 최소 500만원 이상 신청 가능접수 방법이메일(seoulmecenat@sfac.or.kr)접수 ○ 서울문화재단홈페이지(www.sfac.or.kr) 새소식 재단 지원사업 공고 참고바랍니다. ▸ 2021년 서울메세나 지원사업 신청공고(예술단체) https://url.kr/etj7uh ▸ 2021년 서울메세나 지원사업 신청공고(후원기업) https://url.kr/ygcuiq
지역본부 > 서울지역본부 > 공지사항 2021.03.09 -
『2020 충청북도 대·중소기업 온라인 구매상담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행사개요 ○ 일 시 : 2020. 10. 14(수) ∼ 2020. 10. 16(금), 3일간 10:00 ~ 17:00 ○ 장 소 : 참가기업 각 사무실 온라인 상담 ○ 주 최 : 동반성장위원회, 충청북도 ○ 주 관 : 동반성장위원회, (재)충청북도기업진흥원 □ 신청기간 및 방법 ○ 신청기간 : 10월 7일(수) 까지 ○ 신청방법 : 혁신성장투어(https://win-win.micehub.com/) 온라인 참가 신청 - 공지사항 내 『혁신성장투어』 온라인 참가 사용자 매뉴얼(중소기업용) 필독 후 접수 진행- 첨부파일 '정보활용동의서' 작성하여 이메일(drjo@kbiz.or.kr)로 송부 必 □ 유의사항 ○ 사전상담 매칭률을 제고하기 위해서, 수요처(대기업)의 세부상담품목을 확인 후 신청 ○ 중소기업 회사 및 제품소개의 경우 상세히 기술하셔야만 상담이 가능 □ 신청문의 ○ (재)충청북도기업진흥원 기업지원부 신숙진 대리(☎043-230-9743, eva4712@naver.com) ○ 동반성장위원회 김해인 대리(02-368-8410)『대기업 · 공공기관 현황』농심, 두산, 만도, 세아베스틸, 아성다이소, 유라코퍼레이션, 이랜드월드, GS홈쇼핑, KT, 포스코,파리크라상, 한화건설, 현대미포조선, CJ제일제당, GS리테일, LG디스플레이, LG하우시스, LG화학, OCI, SK건설, SK이노베이션, SK텔레콤, 네이버, 대상, KOTRA, 동원F B, 두산인프라코어, 두산중공업, 롯데건설, 롯데제과, 롯데하이마트, 르노삼성자동차, 삼성SDI, 삼성디스플레이, 삼성물산, 삼성SDS,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전기, 삼성중공업, 아모레퍼시픽, LS일렉트릭, LG유플러스, 이마트, 카카오, 풀무원식품, 한국가스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동서발전, 한국산업단지공단, 한국지엠, 한국철도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한전KPS, 현대로템, 현대모비스, 현대엔지니어링, 현대위아, 현대자동차,기아자동차, 현대제철, 현대중공업 등※ 대기업 현황은 변경될 수 있음.
지역본부 > 충북지역본부 > 공지사항 2020.10.05 -
중소벤처기업부에서는 코로나19 위기 극복과 소비진작을 위한 '대한민국 동행세일'을 아래와 같이 개최합니다. - 목적 : 코로나19 위기 극복과 소비진작을 위해 대기업에서 소상공인까지 참여하는 민간 협력의 전국적 소비 붐과 내수활성화 기반을 마련- 기간 : '20.6.26(금) ~ 7.12(일), 17일간- 내용 : 가전, 자동차, 백화점 등 제조·유통분야 대기업(23개사), 온라인쇼핑몰(16개), 전국 전통시장(633개) 및 동네슈퍼(5,000여개) 등 모든 경제주체가 참여하는 대규모 할인·판촉행사 서울지역 주요 프로그램 ①전통시장별 프로그램(6.26~7.12) :'덕분에' 챌린지, 그림공모전, 집콕 시장쿡, 경품 및 페이백 행사 등 (※시장별 주요행사 붙임파일 참고) ②숭례문·올림픽핸드볼경기장(7.4) : 비대면 라이브, 언택트 콘서트 등③코엑스(7.10~12) : 라이브스테이션(온라인 판매부스, 동행세일 홍보관 등) 붙임의 파일 참고바랍니다.
지역본부 > 서울지역본부 > 공지사항 2020.07.02 -
대기업 및 중소기업이 다른 중소기업과 상생 협력하여 생산하는 중소기업 제품을 조달시장에 원활하게 진출하도록 지원하는 「공공조달 상생협력 지원제도」의 참여기업 모집 공고가 시행되었습니다. 서울 소재 중소기업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지역본부 > 서울지역본부 > 공지사항 2020.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