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iz중소기업중앙회

‘ 코로나19 조사 ’ 의 검색결과는 총 118건 입니다.

정보마당 102 전체보기

  • 1. 중소기업중앙회는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7조에 따라 중소기업이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체결시 원가계산 항목 중노무비 산정의 기초자료 제공을 위하여 통계법」 제17조에 따라 통계청 승인(제340005호)을 받아 매년 상·하반기 중소제조업 직종별 임금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2. 동 조사는 중소기업이 정부 및 공공기관과 계약 시 적정한 대가를 지급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조사이오니, 바쁘시더라도 적극적인 응답을 부탁드립니다. 3. 아울러 동 조사는 ㈜케이디앤리서치 조사원의 면접조사(코로나19로 전화, 팩스 조사 병행)로 이뤄지며, 응답내용은 통계법 제33조에 따라 통계작성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비밀로 보호됨을 알려드립니다.ㅇ 조사기간 : 2023년 4월 ~ 5월ㅇ 조사기관 : ㈜케이디앤리서치ㅇ 문의처 : (전화) 02-2183-9115 / (팩스) 02-548-5144 / (이메일) kdn21@kdn21.co.kr

  • 중기중앙회 '윤석열 정부 2년차 중소기업 정책과제' 발표- 기자간담회 열고, 중소기업 역동성 회복 위한 '6대 분야 15개 과제' 제시 -□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3.6(월)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윤석열 정부 2년차 중소기업 정책과제'를 발표했다. □ 먼저, 중기중앙회는 지난 2.17~28일 중소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현장이 원하는 중소기업 정책과제 의견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ㅇ 조사에 따르면 정부의 중소기업 정책에 대해 만족한다는 응답이 70.6%(만족 49.0%+매우 만족 21.6%)로 '불만족' 29.4%(불만족 23.6+매우 불만족 5.8%)를 크게 상회했다. - 정부가 가장 잘한 중소기업 정책(복수응답)으로는 △근로시간 유연화 등 노동개혁 원칙 수립(57.0%)을 첫 손으로 꼽으며, 이어 △납품단가 연동제 법제화 등 제값받기 환경조성(44.2%) △기업을 힘들게 하는 규제개선 노력(30.2%) 등 순으로 응답했다. ㅇ 한국경제가 당면한 최우선 해결과제로는 △경직된 노동시장(34.0%) △저출산‧고령화 심화(20.8%) △과도한 규제(19.4%)를, - 중소기업의 당면 애로사항(복수응답)으로는 △원자재 가격 인상(47.0%) △인력난 심화(46.4%) △인건비 상승(39.8%) 등을 꼽았다. □ 중기중앙회는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중소기업을 둘러싼 경제환경을 분석하고 정부가 중소기업의 역동성 회복을 위해 추진해야 할 6대 분야(△고용 친화적 노동개혁 추진 △대‧중소기업 상생문화 정착 △중소기업 성장 및 투자 촉진 △중소기업 금융정책 선진화 △중소기업 수출 활성화 △협동조합의 중소기업 성장 플랫폼화) 15개 실행과제를 제시했다. ㅇ 먼저 [고용친화적 노동개혁 추진] 과제로 주52시간제 유연화 및 8시간 추가연장근로제 항구 적용과 함께 외국인 근로자 쿼터제 폐지 및 중소기업 고용지원 정책 강화 등을 제안했다. ㅇ 또한 [대‧중소기업 상생문화 정착]을 위해 납품단가 연동제 관련 상생협력법‧하도급법 시행령에 중소기업계 의견을 적극 반영할 것과 다수공급자계약(MAS) 2단계 경쟁 기준금액 및 낙찰하한율 상향 등을 주문했다. ㅇ 이어 [중소기업 성장 및 투자 촉진]을 위한 △업종변경 제한요건 폐지 등 중소기업 기업승계 활성화 △뿌리 중소기업 전용 전기료 도입과 함께 [중소기업 금융정책 선진화]를 위한 △금융권 예대마진 축소 △국내 시중은행의 투자은행(IB) 겸업 허용 등 방안을 제시했다. ㅇ 이와 함께 [중소기업 수출 활성화]에는 △ 수출 중소기업에 해외인증 취득 및 마케팅 지원 확대 등이, [협동조합의 중소기업 성장 플랫폼화]에는 △공정거래법상 협동조합 공동행위 허용기준 명확화 등의 내용이 담겼다. □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중소기업들은 코로나 이후 원자재가격 폭등과 인력난, 최근의 고금리까지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며, ㅇ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중소기업의 역동성 회복을 위해 △확실한 노동‧규제개혁 추진 △납품단가 연동제 및 기업승계 지원제도 완성도 제고 △중소기업 성장플랫폼으로서 협동조합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붙 임 : 1. 기자간담회 자료(중소기업 정책과제 조사결과 등) 1부.2. 김기문 중기중앙회장 인사말 1부.3. 행사사진 1부. 끝.

지원사업 1 전체보기

  • 수출컨소시엄 목적 품목ㆍ업종별 중소기업 컨소시엄을 구성해 해외 타겟시장에 파견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글로벌화 및 수출촉진 도모 사업내용 사전준비 → 현지파견 → 사후관리 등의 사업단계별 공동 해외시장 개척활동지원 사전준비 바이어 사전 발굴ㆍ매칭비용, 해외마케팅ㆍ홍보비 및 컨텐츠 제작비 등 지원 현지파견 해외전시회 또는 수출상담회 참가시 필요한 임차비, 장치비 등의 경비 지원 사후관리 해외바이어 국내 초청 관련 비용, 바이어 신용조사비, 샘플발송비 등 지원 사전준비 바이어 사전 발굴, 해외마케팅 및 홍보 현지파견 해외전시회, 수출상담회 사후관리 해외바이어 국내초청 상담회 사업경과 2006년 수출컨소시엄 시범 도입 2008년 수출컨소시엄 도입ㆍ시행 2011년 무역촉진단 파견사업으로 편입 * 무역촉진단 : 해외전시회, 시장개척단, 수출컨소시엄으로 구성 2017년 무역촉진단 파견사업에서 분리 2019년 수출컨소시엄 사업 통합 개편 2020년 비대면 온라인 사업 도입(코로나19 영향으로 20-21년 한시운영) 기존, 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존 전시회파견 전시회 단체참가바우처 무역촉진단 수출컨소시엄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 변경, 로 구성된 표입니다. 변경 수출컨소시엄 지원대상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국내 '중소기업' 수행주체 (주관단체) 업종별 중소기업 단체(조합, 협회 등), 민간전문기업 및 수출유관기관 등 관리기관 중소기업중앙회 추진절차 계획수립 및 공고 중소벤처기업부 주관단체 모집ㆍ선정 중소기업중앙회 참여기업 모집 주관단체 사업수행 주관단체 평가 및 사후관리 중소기업중앙회 지원성과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안), 지원예산(억원), 지원사업수(개), 참여기업수(개), 로 구성된 표입니다.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안) 지원예산(억원) 190.5 155.5 103.9 141.1 141.1 지원사업수(개) 184 139 83 74 73 참여기업수(개) 3,072 3,472 1,602 1,204 1,343 공고문 및 신청서 다운로드 해외전시포털 홈페이지 바로가기 담당부서국제통상실 무역촉진팀 전화02 - 2124 - 3296

    수출컨소시엄

지역본부 3 전체보기

top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