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19 건
-
경기도 하남시에서 구직 희망 청년들에게 고용정보와 취업기업을 제공하고, 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서「2024년 제2회 하남시 청년 채용 ZONE」을 운영합니다.관련해 참여기업을 모집하고 있으며, 다음을 참고하시어 관심 있는 기업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다 음 -▢ 개 요 ○ 운영기간 : 2024. 5. ~ 6. ※분기별 (3,6,9,11월) 개최 ○ 운영일시 : 2024. 6. 28.(금) 14:00~18:00 ※예정 ○ 운영장소 : 경기창업혁신공간 3층 창업카페 / (구)하남벤처센터 (하남시 검단산로 239) ○ 참여대상 - (구인기업) 우수 중소 및 중견기업 등 청년을 필요로 하는 모든 기업 - (구직청년) 취업을 희망하는 만19세 ~ 39세 이하 청년 ○ 사업내용 : 구인기업과 해당기업 희망청년 모집후 만남의 장을 통해 사업(채용)설명회, 취업컨설팅, 이력서 접수, 현장면접 등 구인 기업과 구직 청년을 직접 매칭 연계하는 ONE-STOP 취업지원「청년 채용 ZONE」운영 ▢ 참 여 안 내 ○ 모집기간 : 2024. 5. 1.(수) ~ 5. 31.(금) ☞ 참여업체 선정결과는 개별연락(전화) 드립니다. ○ 참여방법 : 기업참여신청서, 구인신청서, 사업자등록증, 법인등기부 등본 ⇒ 메일 접수 ☞ 신청서 제출 후 반드시 확인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참여기업 지원 및 협조사항========================================================================= - 일자리 매칭 및 취업컨설팅 장소(하남벤처센터) 제공 ▸ 채용설명 자료 자체 작성 ▸ 기업의 근무형태, 직무내용, 복지제도, 연봉등 구체적인 기업정보 자체준비 - 구직자 현장 매칭 서비스 및 알선 등 취업 지원 ▸구직자가 채용기업 희망시, 이력서 제출 및 현장 면접 등 실시간 채용 가능========================================================================= ▢ 참 여 방 법 ○ 문 의 처 : 하남시 청년일자리과 청년일자리팀 (☎031-790-5248) ○ 신청방법 : 담당자 메일(dtsongji@korea.kr)
정보마당 > 유관기관 공지 2024.05.20 -
MZ세대, 코로나19 이후 中企 일자리 선택 조건 1위 '워라밸'- 중소기업 취업, 경력 쌓기 등 자기성장 가능성은 긍정적이나 낮은 연봉은 불만 - 첨부 보도자료 확인 바랍니다
정보마당 > 보도자료 2022.10.05 -
「참 괜찮은 중소기업」, 22년도 우수기업 3만개 선정- 중기중앙회, AI일자리 매칭서비스로 구인 기업과 구직 청년을 연결 - □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는 18일(월) 「참 괜찮은 중소기업」 플랫폼의 3만개 우수 중소기업을 새롭게 선정한다. ㅇ 「참 괜찮은 중소기업」은 청년 등 구직자들이 일하고 싶은 우수 중소기업의 다양한 일자리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찾을 수 있도록 개발된 온라인 플랫폼으로 홈페이지(gsmb.mss.go.kr)와 앱(구글플레이 및 앱스토어 다운·설치)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ㅇ 플랫폼에서는 정부·지자체가 인증했거나 재무성과가 우수한 기업 중 신용등급, 퇴사율 등 6개 기준*으로 '실시간 지도에서 찾기', '조건으로 찾기', '선호기업 찾기' 서비스를 통해 회원가입 없이도 누구나 사용이 가능하다. *①신용등급 BB- 이상, ②영업이익 창출(최근 2년), ③퇴사율(최근 3개월 평균 20% 미만), ④체불·체납·재해·성범죄無(최근 3년), ⑤중소기업인력지원특별법 상 제외업종, ⑥대·중견기업·공공기관, 10인 이상(건설업 30인 이상, 스타트업 5인 이상) □ 한편, '연봉 3,000만원 이상, 신입, 정규직'이라는 우수 中企 채용관도 구축해 중소기업 구인난과 청년 구직난 해결에 앞장서고 있으며, 올해부터는 AI역량검사에 기반한 일자리 직접 매칭 서비스를 추가해 직무에 적합한 인재를 적극적으로 추천할 계획이다. ㅇ AI역량검사 서비스는 「참 괜찮은 중소기업」 플랫폼 기업회원이면 무료로 이용 가능하며 다양한 이벤트와 온라인 취업박람회 참여기회도 제공한다. □ 중소기업중앙회 이태희 스마트일자리본부장은 “참 괜찮은 중소기업 플랫폼을 통하여 청년들이 우수 중소기업을 손쉽게 찾아 지원하길 바란다”며, -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를 위해 플랫폼의 기능을 계속 고도화하고 이를 널리 알려 구인·구직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과 청년구직자 간 소통을 돕겠다”고 말했다. □ 「참 괜찮은 중소기업」은 작년 2월 정식 런칭 이후 청년구직자와 중소기업 등 이용자 수요에 맞춰 다양한 일자리정보를 제공하고, 양방향 일자리매칭 서비스를 이어나가고 있다.
정보마당 > 보도자료 2022.04.15 -
p{margin-top:0px;margin-bottom:0px;} 중소기업 55.8% "올 추석 자금사정 곤란"...매출액 작을수록 어려워 - 중기중앙회, 900개사 대상 '추석자금 수요조사' 결과 - - 금융기관 '고금리' 관련 애로, 전년대비 2배 가까이 늘어 - □중소기업중앙회(회장김기문)는지난8월12일부터26일까지900개중소기업을대상으로실시한「2021년중소기업추석자금수요조사」결과를9.6(월) 발표했다. □조사결과중소기업절반이상(55.8%)이추석자금사정이곤란한것으로나타났으며, 매출액규모가작을수록자금사정'곤란' 응답비율이높아지는 것으로나타났다. □자금사정곤란원인(복수응답)으로는△판매·매출부진(78.5%) △원부자재가격상승(53.0%) △인건비상승(25.7%) △판매대금회수지연(21.3%) 순으로응답했고, ㅇ자금사정곤란과관련해'코로나19가영향을미쳤다'는응답이96.4%에 달했다. □한편, 금융기관을통한자금조달여건이'곤란'하다는응답은36.9%로'원활'하다는응답(17.0%)보다2배이상높게나타났다. ㅇ금융기관거래시애로사항(복수응답)으로는△매출액등재무제표위주대출(34.2%)이가장많았고, 그뒤를이은 △고금리(29.0%) 응답은지난해(15.6%) 대비2배가까이증가했다. □중소기업은올추석에평균3억7,800만원의자금(임금, 원자재등단기운영자금)이필요한것으로응답했으며, 필요자금중확보하지못해부족한금액은 4,760만원으로필요자금대비부족률은12.6%로나타났다. ㅇ부족한추석자금확보계획(복수응답)에대해서는△납품대금조기회수(45.3%) △결제연기(40.4%) △금융기관차입(30.2%) 등을계획하고있다고응답했으나, '대책없음' 응답도16.4%를차지했다. □올해추석상여금(현금) 지급계획에대한물음에는'지급예정'이라는응답이34.2%로가장많았고, △연봉제실시(연봉에포함등)로미지급(31.3%) △아직결정못함(21.3%) △경영곤란으로미지급(13.1%) 응답이뒤를이었다. ㅇ정률로지급하는업체는평균적으로기본급의63.2%, 정액으로지급하는업체는평균45.3만원을지급할것이라고응답했다. 추석휴무계획은평균4.8일을휴무할것이라고밝혔다. □추문갑중기중앙회경제정책본부장은“코로나19의장기화로인한판매(매출)부진과더불어원자재가격급등, 인건비상승등경영애로 요인이더해지면서 그어느때보다중소기업의자금조달에어려움을겪는상황에서, 최근한국은행의금리인상조치로금융비용부담이증가하여중소기업의자금애로가 더욱가중될것으로보인다”고밝히며, ㅇ“추석을앞두고중소기업과소상공인의유동성확보에어려움이없도록자금지원원활화를위한정책기관및금융권의각별한관심과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강조했다. 붙임: 조사보고서1부. 끝.
정보마당 > 보도자료 2021.09.06 -
중기중앙회, '이달의 우수 중소기업 일자리'로 청년취업 활로 마련- 7월부터 평균연봉 3,000만원 이상 정규직 일자리 매칭 지원 -- 중진공·고용정보원과의 협력으로 일자리 미스매치 완화 일조 -□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한국고용정보원과 함께 추진중인 '이달의 우수 중소기업 일자리' 청년 매칭 지원사업을 통해 12,000여건의 입사지원을 달성(7월말 기준)했다고 8.17(화) 밝혔다. ㅇ 지난 7월 13일 시작한 '이달의 우수 중소기업 일자리' 청년 매칭 지원사업은 매달 구인활동 중인 「참 괜찮은 중소기업」* 등재 기업들의 채용공고 중 '연봉 2,700만원 이상', '정규직', '경력무관' 등의 요건을 충족하는 우수 채용정보를 실시간으로 선별한다. * 「참 괜찮은 중소기업」(gsmb.mss.go.kr) : 정부·지자체 인증기업 중 영업이익 등 6개 선별기준으로 선정한 기업정보(약 3만개)를 제공하고, 워크넷·잡코리아 등과 연계한 구인정보 등을 서비스하는 플랫폼 ㅇ 선별된 일자리 및 기업정보는 「참 괜찮은 중소기업」(gsmb.mss.go.kr), 기업인력애로센터(job.kosmes.or.kr), 워크넷(work.go.kr), 잡코리아(jobkorea.co.kr)에서 별도 전용관을 통해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 각 기관의 채용관 구축과 일자리 매칭지원은 사업 출범 약 2주만에 4,199개의 우수채용공고 선별과 12,000여건의 입사지원을 달성했다.(7.31 기준) ㅇ 중기중앙회는 희망 구인기업에게 인재열람권 제공 서비스를, 청년 구직자에게는 맞춤형 기업추천 서비스를 제공해 약 7,700건의 입사지원을 이끌어냈다. ㅇ 중진공의 기업인력애로센터는 직접 구인기업-구직자 매칭작업을 수행해 33건의 채용절차(서류·면접전형)로 연결했으며, ㅇ 고용정보원이 운영하는 워크넷에서는 전용채용관 구축을 통한 구직자 알선으로 약 5,100건의 입사지원을 기록했다. □ 한편, 중기중앙회가 잡코리아와 협력하여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7월에 선별된 우수 채용공고 2,591건의 평균연봉은 3,094만원(최저 2,700만원, 최고 7,000만원)으로 나타나, 높은 급여수준을 희망하는 청년 구직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으며, ㅇ 지역별 공고비중은 '경기도'가 39.6%, '서울시'가 22.1%를 차지하면서 수도권에서 선별된 채용공고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 선별된 우수 채용공고의 사례들을 살펴보면, 경북 경산시 소재의 '에코다임'은 연 3,800~4,000만원 수준의 신입 정규직 전략기획 디자인부 채용공고를 게재했다. ㅇ 해당 기업은 2011년에 설립된 농촌지역개발/환경디자인 등 공간 계획 컨설팅 기업으로, 상주시·주전항·거제면 등의 지역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IT기업 '콜론디'는 연봉 3,000만원 이상의 조건으로 UI/UX 기획자를 모집 중이며, ㅇ 채용된 구직자는 해당 기업이 운영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설계 및 시각 디자인의 한 축을 맡게 된다. □ 구인기업과 구직자를 이어주는 '이달의 우수 중소기업 일자리'는 청년 구직자(만 15~34세, 군필자 최대 만 39세)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ㅇ 기업인력애로센터, 워크넷, 잡코리아의 인력풀에 등록하여 '이달의 우수 중소기업 일자리' 정보와 희망직무를 고려한 일자리를 추천받거나, 직접 구직 신청을 할 수 있다. ㅇ 현재 제공되는 매칭 서비스 이외에도 매달 채용동향 설명회 및 취업 가이드 영상이 제작되어 유튜브 채널, 중소기업 지원 협ㆍ단체 등을 통해 배포될 예정이다. □ 또한, 선별된 채용공고를 올린 기업에게는 각 플랫폼 전용관에 채용정보가 무료등록되며, 잡코리아 인재풀 열람권 및 채용공고별 맞춤 인재 추천 등의 서비스가 제공된다. □ 백동욱 중기중앙회 청년희망일자리부장은 “「참 괜찮은 중소기업」 플랫폼을 활용하여 MZ세대의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와 청년인재를 서로 연결해 주는 것이 이번 지원사업의 역할”이라며, ㅇ “우수한 인재를 필요로 하는 중소기업의 진심과, 좋은 일자리를 찾는 청년 구직자들의 열정이 만날 수 있는 창구를 확대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본 지원사업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참 괜찮은 중소기업」(gsmb.mss.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끝.
정보마당 > 보도자료 2021.08.17 -
청년일자리미스매치해법「이달의우수中企일자리」 - 중기부·중기중앙회등일자리미스매치해소위해협력- - 청년구직자대상'연봉2,700만원이상정규직' 매칭지원-□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사장 김학도), 한국고용정보원(원장 나영돈)은 올해 12월까지 '이달의 우수 중소기업 일자리' 청년 매칭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7.12(월) 밝혔다. ㅇ 동 사업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위축된 고용시장 사정에 따라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요즘, 중소기업과 청년 구직자 간 일자리 미스매치를 완화하기 위해 추진된다. □ 이들 기관의 협력은 지난 5월 체결된 교육부‧고용부‧중기부‧중기중앙회 간 업무협약에 따른 후속조치로, 구인활동 중인 우수 중소기업의 채용공고에서 청년들이 선호할 만한 일자리를 선별하고, 청년 구직자와의 매칭을 지원한다. □ '이달의 우수 중소기업 일자리'는 매달(7월~12월) 구인활동 중인 「참 괜찮은 중소기업」 플랫폼* 등재 기업들의 채용공고 중 '연봉 2,700만원 이상', '정규직', '경력무관' 등의 요건을 충족하는 채용정보를 실시간으로 선별한다. * 「참 괜찮은 중소기업」 플랫폼 : 우수 중소기업의 기업정보(약 3만개)를 제공하고, 워크넷·잡코리아 등과 연계한 구인정보 제공 등을 서비스하는 플랫폼 ㅇ 선별된 일자리 및 기업정보는 「참 괜찮은 중소기업」 플랫폼, 기업인력애로센터, 워크넷, 잡코리아에서 별도 전용관과 팝업창 등을 통해 제공된다. □ 청년 구직자(만 15~34세, 군필자 최대 만 39세)는 누구나 사업에 참여할 수 있으며, ㅇ 기업인력애로센터, 워크넷, 잡코리아의 인력풀에 등록해 '이달의 우수 중소기업 일자리' 정보와 희망직무를 고려한 일자리를 추천받거나, 직접 구직 신청을 할 수 있다. □ 또한, 선별된 채용정보를 올린 기업에게는 각 플랫폼 전용관에 채용정보가 무료등록되며, 잡코리아 인재풀 열람권 및 채용공고별 맞춤 인재 추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ㅇ 이후 매달 '이달의 우수 중소기업 일자리' 채용동향 설명회 영상을 제작해 유튜브 채널, 중소기업 지원 협ㆍ단체 등을 통해 배포할 예정이다. □ 중진공 및 고용정보원에서도 기업인력애로센터 누리집과 워크넷에 전용 채용관을 신설하고, 채용정보 제공, 인재ㆍ구인기업 추천 등의 일자리 매칭을 지원할 계획이다. □ 한편, 청년을 채용하는 구인기업은 고용부가 지원하는 청년채용특별장려금*을 활용하면 기업당 최대 3명, 1인당 최대 1년간 900만원의 인건비를 지원받을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고용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청년채용특별장려금 : 신규채용 청년 1인당 인건비 월75만원(최대 1년), 최대 900만원 지원(2021년 한시정책) □ 백동욱 중기중앙회 청년희망일자리부장은 “좋은 중소기업 일자리와 청년 구직자를 이어주는 이번 매칭 사업을 통해 취업난 속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끝.
정보마당 > 보도자료 2021.07.12 -
中企, 임직원 자가진단 통해 청년들이 가고 싶은 일터 만든다 - 중기중앙회, 중소기업 '건강한 일터' 자가진단 모형 최초개발 - □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가 중소기업 임직원들이 스스로 우리 회사 일자리가 청년구직자가 선호하는 일자리 요소를 얼마나 충족하는지 알아볼 수 있는 「중소기업 '건강한 일터' 자가진단 모형」 개발 결과를 11일(금) 발표했다. ㅇ 이번 발표는 청년-중소기업 간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가 지속되고 일자리 질(質)이 양극화되고 있는 세태 속에서 중소기업들의 자발적인 일터 개선 노력을 지원하기 위한 환경 조성에 도움을 주고 청년구직자가 희망하는 중소기업 일자리가 확산될 수 있는 기반 마련을 위한 것으로, - 중기중앙회와 충북대학교 이정환 교수팀의 공동연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 「중소기업 '건강한 일터' 자가진단 모형」은 연봉수준, 성과보상, 근무환경, 기업건전성, 조직문화 등 총 5개 분야에 대해 중소기업 내부 임직원들이 느끼는 만족도를 바탕으로 '일터 건강도'를 도출하는 방식이다. ㅇ 구체적으로 '일터 건강도'는 총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위 5개 분야에 대한 총 13개 문항별 임직원 만족도와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합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각 임직원들의 '일터 건강도' 평균값이 기업 단위의 '일터 건강도'가 된다. ㅇ '일터 건강도'의 분야별 가중치는 청년구직자들의 선호도 조사결과 및 전문가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성과보상(27.3%), 조직문화(22.7%), 근무환경(18.3%), 연봉수준(17.8%), 기업건전성(13.9%)으로 정해졌다. □ 청년구직자들은 중소기업 중 '237만원 수준의 월 급여', '일 자체를 즐겁고 재미있게 하면서 개인 생활을 존중받는 조직문화', '출퇴근이 편리하고 복지제도가 우수한 근무환경', '고용이 안정되고 성장잠재력이 있는 기업' 및 '연봉 외 인센티브'를 갖춘 일자리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ㅇ 특히, '연봉 수준'(17.8%) 및 '연봉 외 인센티브'(16.5%)등 금전적 보상관련 지표를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가진단 모형에서도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ㅇ 반면에 '유대가 돈독한 가족같은 조직문화'나, '최신식 시설을 갖춘 근무환경' 등 표면적인 요소,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 '개인교육 지원 및 조기 승진' 은 상대적으로 낮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모형 내 큰 비중을 차지하지는 못했다. □ 이번 연구는 특히 ①중소기업에 취업의향이 있는 청년구직자에 한정하여 진행된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중소기업에 특화된 건강한 일터 개념을 발굴코자 했고, ②13개 문항을 통해 쉽고 간단하게 각 임직원들이 느끼는 '일터 건강도'와 기업 단위 '일터 건강도'를 도출할 수 있으며, ③청년구직자들이 중요시하는 요소에 대한 '중소기업 임직원들의 만족도'를 반영하여 보다 실질적인 결과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시도로서의 차별성을 갖는다. □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이번 연구 발표는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경영환경 악화 속에서도 대-중소기업 간 일자리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한 출발점으로서 중소기업계가 자발적으로 청년들이 일하고 싶은 안정적 일자리를 계속해서 만들어가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라며, ㅇ “중소기업계의 자구노력과 더불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청년들의 인식개선이 동반되어 상생과 사회적 위기극복에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앞으로 중기중앙회는 중소기업 임직원들이 더욱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자가진단 홍보를 추진하고, 기업별 자가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괜찮은 중소기업 일자리와 청년구직자 간 일자리 매칭까지 연계해나갈 계획이다. ㅇ 또한, 비대면 활성화 추세에 발맞춰, 연내 서비스 목표로 중소벤처기업부와 공동구축 중인 (가칭)「괜찮은 중소기업 일자리플랫폼」을 활용하여 온라인 진단 및 데이터베이스화도 함께 추진해 중소기업 임직원들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자가진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붙 임 : 자가진단 문항 1부. 끝.
정보마당 > 보도자료 2020.09.10 -
국가과학기술연구회에서는 중소기업에 우수 연구인력을 공급하여 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 및 신규일자리 창출 지원을 목적으로 2020년도 중소기업 연구인력지원사업 참여기업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이에 아래를 참고하시어 관심 있는 기업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중소벤처기업부 공고 제2020-392호(2020.7.14)□ 신청·접수기간 : '20. 8. 10(월) ∼ 8. 28(금) 18:00까지 *SMTECH 온라인 신청‧접수 □ 신청자격 ◦ (연구인력) 이공계 학‧석‧박사 학위 취득 후 5년 이내자 * 신청기업 대표자는 지원인력으로 신청 불가 * 2015년 학위 취득자부터 2020년 학위 취득자 예정자까지 신청 가능 ◦ (중소기업) 기업부설연구소(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를 보유 중소기업 *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제14조의2에 의거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로 인정받은 기업□ 지원내용 ◦ 기업별 연구인력 최대 2명, 최대 3년간 기준연봉의 50%지원□ 지원조건 ◦ 지원대상 연구인력은 정규직만 가능하며, '19. 9. 1 이후 채용자 또는 채용예정 인력 ◦ 지원대상 연구인력을 기업부설연구소(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에 배치하여 연구전담요원으로 활용※ 보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고 요망
정보마당 > 유관기관 공지 2020.08.12 -
“괜찮은 일자리의 기준은?” - 중소기업중앙회, '건강한 일자리 가이드' 제시 - □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가 중소기업 스스로 일자리의 괜찮은 정도를 점검해 볼 수 있는 기준을 내놨다. ㅇ 중앙회는 1,600여명의 청년 구직자들을 대상으로 한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중소기업에 근무 중인 재직자들의 의견과 전문가 자문을 거쳐 29일 '건강한 일자리 가이드'를 발표했다. □ 가이드는 총 7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일자리의 괜찮은 정도를 판단해 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급여수준'과 '근로시간' 등 일반적으로 중시되는 기준들에 '회사 위치'와 같이 최근 청년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마련되었다. ㅇ 세부적으로는 '급여수준', '근로시간', '회사의 성장성(매출액·부채비율)', '회사의 안정성(업력·사원수·영업이익)', '대중교통 편리성' 등 계량적이고 객관적인 측정이 가능한 5가지 요소와 '고용안정성'과 '조직문화' 등 정성적 판단이 필요한 2가지 요소가 고려되었다. ㅇ 중앙회가 서울대학교 유병준 교수팀과 함께 공동으로 연구한 이번 '일자리 건강도 등급 가이드'는 총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괜찮은 정도를 판단하도록 설계되었고 청년들의 선호도와 전문가 의견 등을 감안하여 요소별 가중치도 설정하였다. □ 또한, 같은 중소기업이라 할지라도 업종별 특성에 따라 평균 매출규모 등의 편차가 있음을 감안하여 업종별 등급 판단 기준도 차별적으로 제시하였다. ㅇ 개별 중소기업에서는 평가요소별로 제시된 업종별 국내 평균치 등을 기준으로 10% 초과 또는 미만 여부에 따라 자기 회사의 상,중,하 해당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해당하는 점수를 합산하면 일자리의 건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건강한 일자리 등급 평가표 구 분 평가요소 평가결과 획득 점수 상 중 하 정량요인 (객관적 기준) 급여수준 (업계 평균 대비) 15 8 2 근로장소 (대중교통 편리성) 20 9 2 근로시간 (업계 평균 대비) 20 10 2 회사의 성장성 (업계 평균 대비 매출, 부채비율) 10 5 1 회사의 안정성 (업계 평균 대비 업력, 사원 수, 영업이익) 10 5 1 정성요인 (주관적 기준) 고용안정성 12 6 1 조직문화 13 7 1 계 100 50 10 주) '급여수준', '근로시간', '회사의 성장성', '회사의 안정성' 요소는 업종 평균을 기준으로 ±10% 초과 미만 여부에 따라 '상・중・하'구분. '근로장소'는 버스, 지하철 등 일반적 대중교통 수단에의 접근성 정도에 따라 평가. '고용안정성'은 평균 근속연수 등과 직원간 설문 기준으로 평가. '조직문화'는 직원복지 수준과 수직・수평적 문화 등의 선호도를 감안하여 자체 평가. □ 실제 중소기업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7가지 평가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가이드의 특성상, 임금・업력・성장성 등 어느 1~2가지 요소만 좋아서는 최고 등급의 일자리로 평가받기는 어렵고 지방소재 기업이라도 요소별 점수를 고르게 획득하면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ㅇ 업력 18년차의 서울 소재 A금속업체는 자기계발 관련 복리후생지원까지 하고 있으나 연봉이 3천만원 미만이고 직원수가 4명인 등 안정성 측면 등에서 점수가 낮아 중간(★★☆)등급 일자리로 평가되었고 ㅇ 대구의 B금형업체는 평균연봉이 3천만원을 넘고 육아와 주거관련 복리후생을 제공하고 있으나 고용안정성과 성장성 측면에서 점수가 낮아 역시 중간(★★☆)등급 일자리로 평가되었다. ㅇ 반면, 세종시 소재 C전자업체는 지방업체로 고용안정성이 다소 낮다는 평가임에도 평균연봉이 3천만원이 넘고 업력과 성장성 요소 점수가 고르게 높아 최고(★★★)등급 일자리로 평가되었다. ※ 금속,금형,의료,전자,기계,정보산업별 중소기업 일자리 등급 시뮬레이션 사례(붙임 참조) □ 평소 중소기업 일자리에 대한 청년구직자들의 인식개선 필요성을 강조해온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은 “이번에 제시된 가이드는 현실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중소기업 일자리의 건강도를 점검해보자는 취지로 괜찮은 중소기업 일자리에 대한 청년들의 적극적인 도전과 더불어 중소기업들 스스로의 일자리 개선 노력도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ㅇ 앞으로 중앙회는 중소기업들이 스스로 간편하게 '일자리 건강도'를 점검해볼 수 있도록 홍보를 확대하고, 일자리 건강도에 따라 별(★) 개수를 부여하는 '일자리 스타(★★★, ★★☆, ★☆☆) 인증체계' 구축을 추진하는 등 건강한 일자리를 만들고 알리기 위한 중소기업계의 자발적인 노력을 적극 이끌어나갈 예정이다. ㅇ 한편, 중앙회 김기문 회장은 취임 직후인 지난 4월 '청년희망 스마트일자리프로젝트' 선포식을 개최하고 우리시대 청년들이 일하고 싶은 스마트한 중소기업 일자리를 찾고, 만들고, 알리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바 있다. 간편 일자리 등급 기준 산업별 정량요인 등급 기준 비 고 ★★★ ★★☆ ★☆☆ 금속 67점 이상 54점 이상 54점 미만 정성지표에 대한 기업 자체 평가 (2개 항목 상중하 평가)를 포함하여 종합등급 평가 금형 68점 이상 57점 이상 57점 미만 의료 68점 이상 50점 이상 50점 미만 전자 68점 이상 58점 이상 58점 미만 기계 71점 이상 49점 이상 49점 미만 정보 68점 이상 54점 이상 54점 미만 주요 제조산업 기준 준용 가능 산업 금속 의복,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가죽,가방 및 신발제조업, 인쇄 및 기록매체복제업, 기타제품 제조업, 숙박 및 음식점업, 부동산업,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협회 및 단체, 수리및기타개인서비스업 금형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전기장비 제조업, 기타기계 및 장비제조업, 산업용기계 및 장비수리업, 하수폐기물 처리, 원료재생업, 도매 및 소매업, 교육 서비스업 의료 비금속광물제품 제조업, 1차금속 제조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전자 섬유제품 제조업;의복제외,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금속가공제품 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의료,정밀,광학기기 및 시계제조업,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기계 식료품제조업,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가구제외, 펄프,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기타운송장비 제조업, 가구 제조업, 건설업, 운수 및 창고업 정보 음료 제조업, 담배 제조업, 코크스,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의료용물질 및 의약품제조업, 광업, 정보통신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붙임] 중소기업 일자리 등급 시뮬레이션 사례 ◆ 금속 산업 기업 급여수준 근로지역 조직문화 고용안정성 성장성 안정성 일자리 등급 A기업 3,176만원 경상남도 주거 관련 복리후생 상 상위 20% 업력 17년차, 사원 128명, 영업이익 24억 ★★★ B기업 2,941만원 서울특별시 자기계발 관련 복리후생 중 상위 30% 업력 18년차, 사원 4명, 영업이익 1억 ★★☆ C기업 2,806만원 충청남도 - 중 상위 40% 업력 7년차, 사원 12명, 영업이익 5천 ★☆☆ ◆ 금형 산업 기업 급여수준 근로지역 조직문화 고용안정성 성장성 안정성 일자리 등급 A기업 3,807만원 부산광역시 가족친화 인증기업, 일하기 좋은 기업 상 상위 10% 업력 20년차, 사원 300명, 영업이익 335억 ★★★ B기업 3,240만원 서울특별시 육아 및 주거 관련 복리 후생, 사우회 운영 중 상위 10% 업력 15년차, 사원 79명, 영업이익 29억 ★★☆ C기업 3,161만원 대구광역시 육아 및 주거 관련 복리후생 중 상위 30% 업력 9년차, 사원 43명, 영업이익 14억 ★☆☆ ◆ 의료 산업 기업 급여수준 근로지역 조직문화 고용안정성 성장성 안정성 일자리등급 A기업 3,661만원 서울특별시 육아 및 주거 관련 복리후생, 가족친화 인증기업 상 상위 40% 업력 79년차, 사원 306명, 영업이익 46억 ★★★ B기업 2,964만원 충청남도 육아 관련 복리후생 상 상위 30% 업력 24년차, 사원 205명, 영업이익 40억 ★★☆ C기업 2,829만원 충청북도 . 중 상위 40% 업력 20년차, 사원 118명, 영업이익 -3억 ★☆☆ ◆ 전자 산업 기업 급여수준 근로지역 조직문화 고용안정성 성장성 안정성 일자리 등급 A기업 3,332만원 세종시 주거 및 자기 계발 관련 복리후생, 건강검진 지원, 노조 중 상위 10% 업력 47년차, 사원 104명, 영업이익 23억 ★★★ B기업 2,855만원 전라북도 출퇴근 관련 복리후생 상 상위 10% 업력 15년차, 사원 243명, 영업이익 27억 ★★☆ C기업 2,804만원 경기도 자유복장 상 상위 30% 업력 8년차, 사원 37명, 영업이익 5억 ★☆☆ ◆ 기계 산업 일자리 등급 예시 기업 급여수준 근로지역 조직문화 고용안정성 성장성 안정성 일자리 등급 B기업 3,504만원 충청남도 육아, 주거, 및 자기계발 관련 복리 후생, 사우회 운영, 노조 상 상위 10% 업력 17년차, 사원 357명, 영업이익 10억 ★★★ C기업 2,929만원 경상북도 출퇴근 및 주거 관련 복리후생 상 상위 20% 업력 13년차, 사원 185명, 영업이익 6억 ★★☆ D기업 2,880만원 충청남도 - 중 상위 10% 업력 21년차, 사원 135명, 영업이익 9억 ★☆☆ ◆ 정보 산업 일자리 등급 예시 기업 급여수준 근로지역 조직문화 고용안정성 성장성 안정성 일자리 등급 B기업 3,665만원 경기도 육아, 출퇴근, 자기계발 관련 복리후생, 자유복장, 사우회 상 상위 10% 업력 20년차, 사원 378명, 영업이익 112억 ★★★ C기업 2,925만원 인천광역시 자기계발 관련 복리후생, 자유복장 중 상위 10% 업력 19년차, 사원 200명, 영업이익 42억 ★★☆ D기업 2,855만원 경상북도 자유복장 중 상위 20% 업력 16년차, 사원 50명, 영업이익 1억 ★☆☆ 참고: 일자리 가이드 관련 주요 통계 산업분류별 규모별 2017 월 평균 상용 근로일수 (일) 월 평균 상용 근로시간 (시간) 일 평균 상용근로시간 (시간/일) 월 평균 상용임금총액 (원) 년 평균 매출액 (백만원) 년 평균 영업손익 (백만원) 부채비율(%) 전체 -1~299인 20.9 174.4 8.3 3,081,736 2,552 101.00 163 광업 -1~299인 22.0 187.6 8.5 3,631,153 2,601 257.09 139 제조업 -1~299인 21.1 184.1 8.7 3,224,748 4,036 179.30 133 하수폐기물 처리, 원료재생업 -1~299인 21.8 180.6 8.3 3,178,702 2,827 234.76 154 건설업 -1~299인 20.8 167.6 8.1 2,935,166 2,508 110.45 88 도매 및 소매업 -1~299인 21.2 172.7 8.1 3,136,067 3,059 82.57 139 운수 및 창고업 -1~299인 21.4 169.7 7.9 2,975,027 2,516 64.90 196 숙박 및 음식점업 -1~299인 23.2 198.2 8.5 2,065,954 1,281 -0.21 350 정보통신업 -1~299인 20.0 163.4 8.2 3,895,762 1,274 15.24 126 부동산업 -1~299인 19.6 187.3 9.6 2,435,464 1,583 150.82 427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1~299인 20.1 163.1 8.1 3,927,398 991 53.25 128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1~299인 20.4 168.7 8.3 2,311,301 1,303 19.39 177 교육 서비스업 -1~299인 20.0 159.6 8.0 3,310,293 744 17.93 182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1~299인 21.4 173.9 8.1 2,692,147 1,333 36.64 341 협회및단체,수리및기타개인서비스업 -1~299인 21.8 174.9 8.0 2,405,680 - - - 출처 : 노동부(고용노동통계),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ECOS 주 : ▲평균매출액과 평균영업손익은 산업별 총 매출액, 영업손익을을 조사대상 업체 수로 나눈 값 ▲중소기업의 범위는 중소기업기본법의 분류기준(자산총액,평균매출액)과 상용근로자수를 기초 ▲임금은 세금공제전 임금 ▲자료는 단위 미만이 반올림되었으므로, 합계 등의 수치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통계조사 범위 및 대상은 우리나라에서 활동하고 있는 금융 및 보험업 이외의 영리법인을 대상으로 편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통계의 성격상 작성대상으로 적합하지 않은 일부 업종을 제외(자료 없는 경우"-"표시) 산업분류별 규모별 2017 월 평균 상용 근로일수 (일) 월 평균 상용 근로시간 (시간) 일 평균 상용근로시간 (시간/일) 월 평균 상용임금총액 (원) 년 평균 매출액 (백만원) 년 평균 영업손익 (백만원) 부채비율(%) C. 제조업(10~34) -1~299인 21.1 184.1 8.73 3,224,748 4035.918 179.30 132.89 식료품제조업 -1~299인 21.4 184.2 8.61 2,823,687 3634.13 139.49 154.73 음료제조업 -1~299인 20.9 183.8 8.79 3,925,630 2206.594 114.97 175.99 담배제조업 -1~299인 19.5 171.2 8.78 6,596,299 - -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1~299인 21.6 189.6 8.78 2,790,597 3356.424 117.44 133.79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1~299인 20.8 171.2 8.23 2,619,347 5434.026 135.73 136.94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1~299인 21.3 177.4 8.33 2,689,863 3896.045 111.71 160.72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1~299인 21.8 188.2 8.63 2,855,966 2792.415 113.28 171.89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1~299인 21.5 192.0 8.93 3,008,814 4325.944 149.95 129.75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1~299인 20.7 174.8 8.44 2,639,465 2439.887 119.99 129.86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1~299인 20.7 173.7 8.39 4,576,998 5970.004 128.36 135.10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1~299인 20.5 177.7 8.67 4,131,178 4125.386 254.00 101.01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1~299인 19.9 167.8 8.43 3,842,116 8200.182 470.28 68.18 고무제품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1~299인 21.7 195.5 9.01 3,100,167 4717.923 242.76 128.74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1~299인 21.8 187.9 8.62 3,531,989 4539.175 281.71 103.54 1차금속제조업 -1~299인 21.3 191.2 8.98 3,583,144 8538.27 261.90 144.27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1~299인 21.4 186.5 8.71 3,083,027 3489.42 174.38 146.81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제조업 -1~299인 20.5 176.6 8.61 3,278,142 3780.179 155.74 111.95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1~299인 20.4 172.8 8.47 3,230,160 3493.189 244.16 91.86 전기장비제조업 -1~299인 20.5 175.3 8.55 3,316,860 3422.061 147.87 113.14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1~299인 21.2 185.1 8.73 3,390,984 3849.681 227.54 128.63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1~299인 21.3 191.2 8.98 3,468,348 7004.744 179.03 217.88 기타운송장비제조업 -1~299인 20.5 177.9 8.68 3,213,665 3063.259 17.20 389.05 가구제조업 -1~299인 21.4 183.3 8.57 2,825,171 3350.777 147.42 154.82 기타제품제조업 -1~299인 20.7 170.2 8.22 2,679,906 2113.839 93.27 111.10 산업용기계 및 장비수리업 -1~299인 - - - - 1583.509 63.16 73.15 출처 : 노동부(고용노동통계),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ECOS 주 : ▲평균매출액과 평균영업손익은 산업별 총 매출액, 영업손익을을 조사대상 업체 수로 나눈 값 ▲중소기업의 범위는 중소기업기본법의 분류기준(자산총액,평균매출액)과 상용근로자수를 기초 ▲임금은 세금공제전 임금 ▲자료는 단위 미만이 반올림되었으므로, 합계 등의 수치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통계조사 범위 및 대상은 우리나라에서 활동하고 있는 금융 및 보험업 이외의 영리법인을 대상으로 편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통계의 성격상 작성대상으로 적합하지 않은 일부 업종을 제외(자료 없는 경우"-"표시)
정보마당 > 보도자료 2019.10.29 -
\51.9% 추석 자금사정 “곤란”⋯상여금 66.6만원 지급 - 매출감소,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이 주요 자금사정 곤란 요인 - - 매출액 10억 미만 소규모 중소기업의 금융기관 차입 장벽 높아 - □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가 추석을 앞두고 953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8년 중소기업 추석 자금 수요조사” 결과에 의하면 중소기업의 절반 이상(51.9%)의 자금사정이 곤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사정이 원활하다고 답한 곳은 8.4%에 그쳤다. ㅇ 매출액 규모로 살펴보면 매출액이 적을수록 자금사정이 “곤란”하다고 응답하는 업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중소기업 자금사정 (N=953, 단위 : %) 구분 매우원활 원활 보통 곤란 매우곤란 2018년 8월(A) 0.6 7.8 39.7 38.6 13.3 매출액 10억 미만 - 1.0 32.0 49.0 18.0 50억 이상~100억 미만 1.6 9.6 41.6 37.6 9.6 200억 이상 1.0 12.6 53.4 28.2 4.9 2017년 8월(B) 1.4 9.5 43.1 34.4 11.6 증감(A-B, %p) △0.8 △1.7 △3.4 4.2 1.7 ㅇ 자금사정 곤란원인(복수응답)으로는 내수부진으로 인한 “매출감소”가 67.5%로 가장 많았으며, “판매대금 회수지연”(32.1%), “원자재 가격 상승”(29.9%)이 뒤를 이었다. - “원자재 가격상승”으로 애로를 겪는 기업 비중은 지난해 23.1%에서 6.8%p 증가하였는데, 이는 국제유가를 비롯한 국내외 원자재 가격의 2016년 이후 상승 여파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되며 향후 대책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자금사정 곤란원인(복수응답) (N=489, 단위 : %) 구분 매출감소 판매대금 회수지연 납품단가 인하 금융권 대출곤란 보증기금 이용곤란 원자재 가격상승 환율변동 기타 2018년 8월(A) 67.5 32.1 19.4 19.8 5.7 29.9 2.7 7.6 2017년 8월(B) 69.1 37.7 19.3 16.1 5.7 23.1 1.1 4.0 증감(A-B, %p) △1.6 △5.6 0.1 3.7 - 6.8 1.6 3.6 □ 중소기업이 추석에 필요한 자금은 평균 2억 8천 7백만 원으로 지난해(2억 3천 9백만 원)보다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 부족한 금액은 9천 4백만 원으로 필요자금 대비 부족률은 33%로 나타났다. ㅇ 특히, 전년 대비 추석 자금 수요가 4천 8백만 원 증가하였으나, 자금 확보율(67.0%)은 5.9% 낮아지면서 중소기업의 추석 자금사정은 전년대비 악화되었다. - 업종별로는 “도매 및 소매업”의 추석 자금 확보율이 54.0%로 가장 낮았으며, 이는 매출감소와 최근 최저임금 인상 요인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ㅇ 또한, 부족한 추석 자금 확보를 위해 “납품대금 결제연기”(47.6%), “납품대금 조기회수”(43.1%)를 계획하고 있는 중소기업 비중이 높아, 자금부족이 거래기업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 매출액 10억 미만인 기업은 매출액 200억 초과 기업 대비 “금융기관 차입” 응답은 12.2%p 낮은 반면, “사채 조달” 및 “대책 없음” 응답은 각각 15%p, 14%p 높은 것으로 나타나 소규모 기업에 대한 금융 접근성 문제 해소가 시급한 것으로 파악된다. - “대책없음”(29.1%)으로 응답한 중소기업도 전년대비 4.7%p 증가하는 등 추석자금 조달수요에 무기력한 중소기업이 늘지 않도록 금융기관의 지원 확대 및 지원제도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안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추석자금 확보계획(복수응답) (N=464, 단위 : %) 구분 납품대금 조기회수 금융기관 차입 결제연기 사채조달 어음할인 대책 없음 2018년 8월(A) 43.1 28.2 47.6 10.1 9.9 29.1 매출액 10억 미만 38.3 28.3 45.0 15.0 6.7 38.3 50억 이상~100억 미만 54.0 20.0 42.0 14.0 14.0 20.0 200억 이상 40.5 40.5 29.7 0.0 21.6 24.3 2017년 8월(B) 46.6 27.6 40.0 7.3 7.9 24.4 증감(A-B,%p) △3.5 0.6 7.6 5.4 2.0 4.7 □ 한편,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 여건이 “곤란”하다는 응답은 35.1%로 지난해 30.6%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래 시 애로사항으로는 “물적 담보요구”(32.9%), “고금리”(31.8%), “매출액 등 재무제표 위주 대출”(29.2%) 등을 꼽았다. ㅇ 금융권의 물적 담보요구는 담보여력이 부족한 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여전한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ㅇ 전년 대비 “매출액 등 재무제표 위주 대출”에 대한 응답은 8.3%p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29.2%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중소기업의 미래 성장가치를 고려한 금융․보증기관의 대출관행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올해 추석 상여금 지급과 관련해서 “지급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업체는 55.8%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지급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업체는 29.7%였다. ㅇ 추석 상여금(현금) 미지급 응답 사유 중 “경영곤란 미지급”(14.3%)은 “연봉제로 미지급”(15.4%) 응답 보다는 낮지만 전년 대비 3.9%p 증가하여 중소기업의 경영환경이 악화된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추석 상여금(현금) 지급계획 (N=953, 단위 : %) 구분 지급예정 연봉제로 미지급 경영곤란 미지급 미결정 확대 지급 전년 수준 축소 지급 2018년 8월(A) 55.8 0.8 44.7 10.3 15.4 14.3 14.5 2017년 8월(B) 56.1 0.9 48.2 7.0 16.1 10.4 17.4 증감(A-B,%p) △0.3 △0.1 △3.5 3.3 △0.7 3.9 △2.9 ㅇ 지급계획이 있는 중소기업은 정액지급시 1인당 평균 66.6만원, 정률지급시 기본급의 51.9%을 지급할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ㅇ 그리고 조사 중소기업은 평균 4.6일을 휴무할 계획이며, 72.6%는 금년 추석에 “5일 이상”을 휴무할 계획이라고 응답하였으며, “4일”은 17.2%, 3일은 “6.7%” 순으로 나타났다. □ 중소기업중앙회 이재원 경제정책본부장은 “중소기업의 추석 자금 사정이 지난해와 비교하여 다소 나빠졌다.”며 “이는 글로벌 경기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내수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최저임금 인상과 원자재 가격의 상승에 따라 어려워진 중소기업의 경영환경이 조사에서 다소간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하였다. ㅇ 또한 “매출감소 등으로 중소기업의 자금수요가 증가하는 현실에서, 금융기관의 중소기업에 대한 유동성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감도 높은 중소기업 자금 지원정책을 확대해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붙 임 : 2018년 중소기업 추석자금 수요조사 결과 1부.
정보마당 > 보도자료 2018.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