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iz중소기업중앙회

‘ 컨설턴트 ’ 의 검색결과는 총 45건 입니다.

지원사업 8

  • 유형 1 1.[도입기업] 공급기업에게 도입기업 부담금 지급 2. [공급기업] 도입기업 부담금 지급증빙, 완료보고서 등 첨부서류를 시스템의 완료보고서 항목에 제출 구분완료보고서 제출 시 첨부서류 목록(온라인 제출)필수여부1완료보고서○2개발결과 보고서○3임치증서○4개발산출물 목록 및 단계별 산출물○5클라우드 이용료 양자계약서 6클라우드 이용료 이행(계약) 보증보험증권 7도입기업 부담금 지급증빙○ ㅇ작성 유의사항 - 1~6 서류는 시스템 첨부파일 항목 중 [이행] 항목에 제출 1) 완료보고서 : 메일로 수신한 표지 날인 후 본 공지의 본문 양식 활용 2) 개발결과 보고서 : 본 공지의 [참고용_구축완료보고서(혁신, 시스템)] 참고 3) 임치증서 : 완료보고일 이후로 발급하여 제출 · 임치물 명칭 : 사업계획서 과제명(시스템 기준) · 임치기간 : 완료보고서 제출일 이후 ~ 2년 · 개발인 : 공급기업 · 사용인 : 도입기업 4) 개발산출물 목록 및 단계별 산출물 : 사업계획서 內 6.2 개발산출물 참고 5) 클라우드 이용료 양자계약서 : 해당 시 제출 · 계약명 : 사업계획서 과제명(시스템기준) · 계약자 : 도입기업, 공급기업 · 계약금액 : (사업비 금액 중) 클라우드 이용료 · 계약기간 : 완료보고서 제출일 이후 ~ 클라우드 사용기간 6) 클라우드 이용료 이행(계약) 보증보험증권 : 해당 시 제출 · 계약자 : 공급기업 · 피보험자 : 도입기업 · 보험가입금액 : 클라우드 이용료 계약금액의 10% · 보험기간 : 완료보고서 제출일 이후 ~ 클라우드 사용기간 7) 도입기업 부담금 지급증빙 : 도입기업 부담금 지급 후 증빙서류 제출 * 도입/공급기업 담당자 메일로 발송된 양식 활용3. [중앙회] 지급증빙 서류 검토 및 최종감리 의뢰4. [감리기관] 최종감리 진행5. [중앙회] 최종감리 승인6. [멘토] 완료점검7. [공급기업] 최종완료보고서 메뉴에 최종감리 수정사항 반영된 완료보고서 및 제반서류 최종본 업로드구분최종완료보고서 제출 시 첨부서류 목록(온라인 제출)필수여부1완료보고서○2임치증서○3개발산출물 목록 및 단계별 산출물○4클라우드 이용료 양자계약서 5클라우드 이용료 이행(계약) 보증보험증권 6도입기업 부담금 지급증빙○8. [중앙회] 완료점검 승인 및 정부지원금 신청 절차 안내​ 유형 2 1.[공급기업] 현장혁신활동 완료2.[멘토] 완료점검 3.[공급기업] 완료보고서 및 제출 서류를 시스템의 ①완료보고서 및 ②최종완료보고서에 제출 ① 완료보고서 제출 서류구분완료보고서 제출 시 첨부서류 목록(온라인 제출)필수여부1완료보고서○2개발결과 보고서○3테스트 시나리오○4클라우드 이용료 양자계약서 5클라우드 이용료 이행(계약) 보증보험증권 ㅇ작성 유의사항 1) 완료보고서 : 메일로 수신한 표지 날인 및 본 공지의 본문 양식 활용 2) 개발결과 보고서 : 본 공지의 샘플 참고 3) 테스트 시나리오 : 본 공지의 샘플 참고 4) 클라우드 이용료 양자계약서 5) 클라우드 이용료 이행(계약) 보증보험증권 ② 최종완료보고서 제출 서류구분완료보고서 제출 시 첨부서류 목록(온라인 제출)필수여부1납품검수확인서○2도입기업부담금 지급증빙 ㅇ작성 유의사항1) 납품검수확인서 : 메일로 송부된 수행일지에 컨설턴트 서명 후 마지막 페이지로 삽입 2) 도입기업부담금 지급증빙 : 총 사업비 2,000만원 초과 시 제출 4. [중앙회] 제출서류 검토 및 완료평가위원회 개최5. [중앙회] 정부지원금 신청 절차 안내

  • 2022년 대·중소 상생형(삼성)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 관련,제조현장혁신활동 수행일지 및 서약서 양식(유형C)과 유의사항을 배포해드립니다.*협약 이후 필요양식이며, 제조현장혁신활동 서약서는 수행일지 최초 업로드 시 첨부해주시기 바랍니다.※수행일지 업로드 사이트-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www.smart-factory.kr) 접속 컨설턴트 아이디로 로그인 사업관리 수행일지 작성/제출-컨설턴트의 권한 문제로 수행일지 작성이 어려운 경우는 스마트공장지원실(02-2124-4373)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 2021년 대중소 상생형(삼성)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 관련, 완료절차를 다음과 같이 안내 드리오니 도입기업 및 공급기업은 아래의 절차에 따라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유형1 1. [도입기업] 공급기업에게 도입기업 부담금 지급 후 시스템의 최종완료보고서에 증빙 제출 단, 도입기업부담금 지급증빙 양식은 도입/공급기업 담당자에게 개별 발송2. [중앙회] 지급증빙 서류검토 및 최종감리 의뢰3. [도입기업] 완료보고서 및 첨부서류를 시스템의 완료보고서에 제출- 제출서류 1) 완료보고서 : 메일로 수신한 표지 날인 및 본 공지의 본문 양식 활용 2) 임치증서 3) 개발결과 보고서: 본 공지의 샘플[참고용_구축완료보고서(혁신,시스템)] 참고 4) 개발산출물목록 및 단계별 산출물 : 사업계획서 내 필수 문서 확인 5) 클라우드 이용료 양자계약서 6) 클라우드 이용료 이행(계약)보증보험증권4.[감리기관] 최종감리 진행5. [중앙회] 최종감리 승인6. [멘토] 완료점검7. [중앙회] 완료점검 승인 및 정부지원금 신청 절차 안내 유형2 1. [공급기업] 현장혁신활동 완료2. [멘토] 완료점검3. [도입기업] 완료보고서 및 첨부서류를 시스템의 완료보고서 및 최종완료보고서에 제출 - 완료보고서 제출서류 1) 완료보고서 : 메일로 수신한 표지 날인 및 본 공지의 본문 양식 활용 2) 임치증서 3) 개발결과 보고서: 본 공지의 샘플 참고 4) 테스트 시나리오: 본 공지의 샘플 참고 5) 클라우드 이용료 양자계약서 6) 클라우드 이용료 이행(계약)보증보험증권- 최종완료보고서 제출서류 1) 납품검수확인서 (메일로 송부된 수행일지에 컨설턴트 서명 후 마지막 페이지로 삽입) 2) 도입기업부담금 지급증빙 (총 사업비 2천만원 초과 시)4. [중앙회] 제출서류 검토5. [중앙회] 완료평가위원회6. [중앙회] 정부지원금 신청 절차 안내

  • 교육내용 중소기업 ESG 무엇을 해야 하는가? 중소기업 ESG 실천의 첫걸음은? 중소기업 ESG를 위해 나아가야할 방향은? 학습목표 중소기업이 ESG를 추진하기 위해 단기 및 중장기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항에 대해 학습한다. 교육자료 PDF 다운로드 영상보기 교육내용 중소기업 ESG 무엇을 해야 하는가? 중소기업 ESG 실천의 첫걸음은? 중소기업 ESG를 위해 나아가야할 방향은? 학습목표 중소기업이 ESG를 추진하기 위해 단기 및 중장기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항에 대해 학습한다. 교육자료 PDF 다운로드 영상보기

  • 2021 대·중소 상생형(삼성)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 관련,제조현장혁신활동 수행일지 및 서약서 양식(유형C)과 유의사항을 배포해드립니다.*협약 이후 필요양식이며, 제조현장혁신활동 서약서는 수행일지 최초 업로드 시 첨부해주시기 바랍니다.※수행일지 업로드 사이트-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www.smart-factory.kr) 접속 컨설턴트 아이디로 로그인 사업관리 수행일지 작성/제출-컨설턴트의 권한 문제로 수행일지 작성이 어려운 경우는 스마트공장지원실(02-2124-4373)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 ㅇ 공급기업 소속직원 등록방법 : 공급기업 대표(권한이 있는) 아이디로 로그인된 상태에서 기관정보관리 내 참여인력 들어간 후 참여인력에서 '인력추가'버튼 - 소속직원 등록해야 직접인건비 산출내역 투입인력 추가에서 선택 가능 ㅇ 공급기업과 컨소시엄 맺은 컨설턴트 등록방법 : 공급기업 대표 아이디로 로그인된 상태에서 사업관리 내 직원관리로 들어간 후 '권한부여'버튼 - 컨설턴트가 프리랜서인 경우 : 소속기관 프리랜서(공급기업) 선택 후 컨텍센터에 연락하여 권한부여 받아야함 ▶ 사업관리시스템 권한 오류 등은 스마트공장사업관리시스템으로 문의(https://www.smart-factory.kr/)▶ 사업관리시스템 홈페이지자체적인 오류나 문의사항 문의처 ☏1357

  • ESG 온라인 교육 과정명 중소기업 ESG 대응전략 교육목표 ESG 핵심개념 이해 및 중소기업 실제 대응사례제시를 통한 중소기업 역량 강화 수료증 발급 수강신청 하러가기 * 강의명 '노란우산 - ESG' 과 동일합니다. * 수료증 발급은 '중소기업 인력개발원' 홈페이지 로그인 후 수강신청 완료시 발급 가능합니다. 차시, 강의명, 주요내용, 강의바로가기로 구성된 표입니다. 차시, 강의명, 주요내용, 강의바로가기, 로 구성된 표입니다. 차시 강의명 주요내용 강의바로가기 1 중소기업의 ESG 경영 교육내용 ESG의 개념 및 등장배경 중소기업의 현실과 ESG 경영 새로운 시대의 경쟁력, ESG 학습목표 ESG의 개념과 중요성을 이해하고 중소기업이 ESG 경영을 해야하는 이유를 파악한다. 바로가기 2 중소기업의 ESG 대응 교육내용 중소기업의 ESG 관리 필요성 산업별 ESG 특징과 대응 진출 국가의 ESG 규제 대응 학습목표 중소기업 ESG 관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산업별, 진출 국가별 ESG 대응 방안에 대해 학습한다. 바로가기 3 중소기업 ESG 관련 법적 리스크 및 대응 교육내용 ESG 관련 다양한 법적 위험성 ESG 경영 관점에서의 위험의 관리와 대응 학습목표 대기업 및 해외업체의 ESG 경영이 공급망에서의 중소기업에게 미치는 법적 영향 및 대응방안을 학습한다. 바로가기 4 대기업 협력사 ESG 평가 방향 및 대응사례 교육내용 고객사의 ESG 요구와 평가의 의미 협력사 평가에 대한 대응전략 학습목표 ESG 경영의 실제 이행을 위한 기본적인 접근방법을 ESG 평가대응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다. 바로가기 5 중소기업 공급망 ESG 중요이슈 및 대응사례 교육내용 공급망 ESG의 개념과 범위 (ESG 관점) 공급망 중요이슈 점검 공급망 ESG 대응전략 및 사례분석 학습목표 중소기업 관점에서 공급망 개념을 이해하고 글로벌 ESG 경영체제 속에서 공급망 관리 이슈와 중소기업 대응전략을 살펴본다. 바로가기 6 수출중소기업의 ESG 대응사례 교육내용 해외 Buyer의 ESG 요구사항 ESG 대응사례 벤치마킹 및 활용방법 수출중소기업 ESG 경영전략 방향 학습목표 해외 바이어의 ESG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중소수출기업의 ESG 대응사례를 벤치마킹 하고 ESG경영전략 방향을 수립한다. 바로가기 7 중소기업 ESG 우수사례 소개 교육내용 E/S/G 영역별 우수 실행사례 소개 사례 분석을 통한 성공요인 탐색 학습목표 ESG 경영에 대한 이해와 빠른 실행으로 경영활동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가치를 제고하는 다양한 사례를 학습한다. 바로가기 8 업종별 ESG 이슈 이해 교육내용 산업별/업종별 ESG 환경 이해 SASB의 Materiality Map을 통한 업종별 이슈 세부 이해 학습목표 업종마다 차이가 나는 ESG 경영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와 기대를 이해함으로써 ESG 경영의 전략적 중요 이슈를 파악한다. 바로가기 9 중소기업 ESG 정보공시에 대한 이해 교육내용 ESG 공시표준 및 중소기업 적용 방안 중소기업 CSR, ESG 정보공시 지원제도 학습목표 중소기업의 ESG 경영도입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올바른 공시 기준에 대해 학습한다. 바로가기 10 ESG 컨설턴트가 본 중소기업 현실과 미래 교육내용 중소기업 ESG 무엇을 해야 하는가? 중소기업 ESG 실천의 첫걸음은? 중소기업 ESG를 위해 나아가야할 방향은? 학습목표 중소기업이 ESG를 추진하기 위해 단기 및 중장기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항에 대해 학습한다. 바로가기

  • 컨설팅지원단 협동조합 관련 풍부한 지식‧경험을 갖춘 컨설턴트를 활용하여 조합의 안정적 운영과 협동조합 공동사업 개발을 위한 컨설팅 지원. 조합포털 바로가기 목적 협동조합의 안정적 운영과 공동사업활성화 도모 이용대상 중소기업협동조합법에 의거 설립된 중소기업협동조합 및 예비조합 사업혜택 조합 운영지원 (연 7일 이내) * 회계(세무), 정관·규약·규정 정비, 총회개최 지도 등 공동사업 개발지원 공동사업 신규개발 및 운영 지도(최대 연 20일 이내) 협동조합 설립지원 조합 설립을 위한 법규 및 절차 지도(연 5일 이내) * 설립지원 필요 예비조합은 유선문의 후 신청 이용방법 신청시기 연중 수시(단, 예산 소진 시 사업종료) 소요비용 무료지원 * 온라인신청방법 : http://johap.kbiz.or.kr 온라인신청 > 로그인 > 업무시스템 > 조합지원 > 컨설팅 신청·접수 절차안내 신청접수 조합 지원결정 중앙회 컨설턴트 배정 중앙회 조합방문 컨설팅 실시 컨설턴트 결과보고 컨설턴트 컨설턴트 평가 조합 담당부서협업사업실 전화02 -2124 -3222

top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