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iz중소기업중앙회

‘ 기업성장 ’ 의 검색결과는 총 1,323건 입니다.

지역본부 113

  • 지난 10년간 부산·울산경제 꾸준한 성장에도 수도권과 경제 양극화 심화- 지역 맞춤형 혁신인프라 지원, 규제특례 적용, 중소기업 혁신 성장 절실 -□ 중소기업중앙회 부산울산지역본부(부산울산회장 허현도)가 '21년∼'22년 기준 경제지표를 분석한 결과, 지난 10년간 부산·울산은 지역 기업과 경제가 꾸준히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수도권과 경제 양극화 현상은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21년 기준 부산의 지역내총생산은 10년 전보다 44.1% 증가한 98조6,520억 원으로 전국에서 6번째로 높았다. - 울산의 지역내총생산은 77조6,830억 원으로 10년 전 대비 증가율(13.1%)이 전국에서 가장 낮아, 지역내총생산이 부산에 역전 당했다. ㅇ '21년 기준 부산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는 2,965만 원으로 10년 전에 비해 50.5%(약 1,000만원)가 증가했으나, 1인당 GRDP가 가장 높은 울산과는 2배 이상 차이 나며 전국 최하위 권을 기록했다. - 울산의 1인당 GRDP는 6,913만 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으나, 10년 전과 비교한 증가율은 11.9%로 전국 최하위를 기록했다. □ '22년 기준 부산 전체 인구에서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68.7%로 10년 전 대비 감소폭(-6.3%p)이 전국에서 가장 커 생산가능인구 비중 감소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울산도 10년 전보다 생산가능인구 비중이 3.3%p 감소하였고, 감소폭은 전국 네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22년 기준 부산의 임금근로자 중 상용직 비중은 67.3%로 수도권 및 6대 광역시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용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약 364만 원으로 10년 전보다 34.3% 증가했지만, 여전히 서울의 월평균 임금(455만 원)보다 20% 적은 수준으로 수도권과의 임금 격차는 좁혀지지 않았다. ㅇ 울산의 임금근로자 중 상용직 비중은 76.4%로 세종(86.4%)에 이어 전국 두 번째로 높은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용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약 453만 원으로 서울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21년 기준 부산 기업체의 연구개발비는 8,560억원으로 10년 전보다 80.6% 증가하여 수도권과 6대 광역시 중 4번째로 많이 증가했지만, 전국 연구개발비의 약 80%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부산과 수도권의 차이는 상당했다. ㅇ 울산 기업체의 연구개발비는 8,620억원으로 10년 전보다 29.8% 증가하여 수도권과 6대 광역시 중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ㅇ '21년 기준 부산의 경제활동인구 천 명당 기업체 R D 인력은 6.9명으로 수도권 및 6대 광역시 중 2번째로 낮은 수준으로, R D 인력이 가장 많은 경기도와는 4배 이상의 차이를 나타냈다. - 울산의 경제활동인구 천 명당 기업체 R D 인력은 9.5명으로 부산보다는 소폭 많지만, 전국 평균(11.8명)보다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ㅇ 부산의 고성장기업 및 가젤기업과 창업기업 수 비중은 수도권 다음으로 많은 5%대를 차지했지만, 서울, 경기지역에 절반 이상이 집중되어 있어 부산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수도권보다 현저히 낮았다. - 울산의 고성장 및 가젤기업과 창업기업 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2% 미만으로 전국 최하위 권에 머물렀다. □ 허현도 중소기업중앙회 부산울산회장은 “현재 부산·울산은 심각한 인구 고령화, 생산인구 유출, 기업의 혁신역량 부족 문제 등으로 수도권과의 경제적 격차가 극심한 상황이다.”라며, “지역 맞춤형 혁신인프라 지원, 지방 이전 대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및 규제 특례 적용, 지역경제핵심 주체인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강화 등을 통해 수도권과의 양극화 및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해 나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 2018년「경상북도 신성장 기업」표창 계획 □ 목 적 ◦ 기술 혁신성․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도내 중소 제조기업을 발굴, 「경상북도 신성장 기업」 표창을 수여함으로써 지역 중소기업인 자긍심 고취 및 사기 진작 * (근거) 「경상북도 기업인 예우 및 기업활동 지원 등에 관한 조례」 제4조 제1항 제1호 □ 표창 개요 ◦ (선정 규모) 10개사 정도 * 신청·접수 및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 가능 ◦ (표창 훈격) 경상북도지사 ◦ (선정 대상) 경상북도 내에 공장을 소재한 중소기업(제조업) 중 최근 2년간 결산 재무제표 상 연간 매출액이 10억원 이상 최근 2년간 당기순이익 발생, 전년 대비 매출액이 10% 이상 성장 기술개발실적, 수출비중 등 기업성장성이 우수한 업체 ◦ (선정 혜택) 표창패 수여 및 사업 참여 우대 등 □ 표창 대상자 선정 세부계획 ◦ (접수 기간) 2018.7.10(화) ∼ 8.10(금) 까지 / 약 1개월 ◦ (신청 방법) 공문 발송 ◦ (신청 자격) 시장․군수, 중소기업 유관기관장* * (유관기관) 경상북도경제진흥원, 경북신용보증재단, 경북테크노파크, 중소기업중앙회 대구경북지역본부, 중소기업진흥공단 경북지역본부, 기술보증기금 대구·경북지점 신청 서류 ◦「경상북도 신성장 기업」추천서 1부 (붙임 1) - 공적요약서, 대표자 이력 및 회사연혁 1 부 ◦ 공장등록증명서, 법인등기부등본 (사업자등록증) 각 1부 ◦ 최근 2년간 결산 재무제표 1부 (2016년, 2017년) ◦ 산업재해율 확인서 1부 (2016.1.1.∼2017.12.31.) ◦ 국세 및 지방세 납세 증명서 각 1부 (신청 마감일 기준) ◦ 회사소개 자료 1부 (카달로그, 팜플릿 등) ◦ 기타 실적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 (수출실적증명서, 특허증·인증서 등) * 모든 사본은 반드시 원본 대조필 세부 신청내용 및 양식 붙임참조

  • ​소관부처·지자체중소벤처기업부사업수행기관중소기업중앙회신청기간예산 소진시까지사업개요승계 진행(희망) 중소기업과 비상장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의 승계 관련 전문 자문위원의 세제 및 법률 상담을 무료로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승계 진행(희망) 중소기업☞ 중소기업 승계 관련 무료 자문 서비스- 일반상담(전화, 온라인, 현장), 주식가치평가(현장)사업신청 방법온라인 접수 (중소기업중앙회 홈페이지)※ 전화 접수 문의처 참조문의처중소기업중앙회 기업성장실 02-2124-3148

  • 소관부처·지자체대구광역시사업수행기관대구신용보증재단신청기간예산 소진시까지사업개요대구광역시 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 지원 및 운용조례」 제6조에 의거 2025년도 대구광역시 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 지원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대구 내 운영중인 사업장을 둔 중소기업, 소상공인, 중견기업※ 자금별 신청대상 공고문 참조☞ 유망창업기업 지원자금, 기술형 창업기업 지원자금, 일반창업기업 지원자금, 성장기업 지원자금 등 지원※ 자금별 지원내역 공고문 참조사업신청 방법방문 접수※ 지점별 접수 소재지 공고문 참조문의처경제국 경제정책관 (053-803-3401) / 대구신용보증재단 기업성장지원센터 (053-564-2900), ※사업장 소재지 담당 지점으로 문의 및 접수

  • 『2021년 제6회 명문장수기업 확인계획』이 다음과 같이 공고 되었으니,관내에 소재한 업력이 45년 이상 된 중소기업의 많은 관심을 가져주시길 바랍니다. - 다 음 -가. 신청대상 : 업력 45년 이상 중소기업(평균매출액 3천억원 미만 중견기업 포함)나. 신청기간 : '21. 3. 15.(월) ~ 4. 30.(금)다. 신청방법 : 신청서 및 첨부서류 작성 후 우편 또는 방문접수 (중소기업중앙회 기업성장부) * 공고문 및 신청양식 [중소기업중앙회 가업승계지원센터 홈페이지(successbiz.or.kr) 알림마당 공지사항] 41번 게시글에서 다운로드 가능​라. 문의 : 중소기업중앙회 기업성장부(☏02-2124-3146~7)붙임 : 첨부파일참조

  • 광주경제진흥상생일자리재단에서는 지역중소기업의 경영안정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2025년도 중소기업육성 경영안정자금 사업'을 다음과 같이 실시합니다. 0. 지원사업: 중소기업육성 경영안정자금 0. 지원규모: 2,700억원(상반기 1,900억원, 하반기 800억원) 0. 지원대상: 제조업 및 일부 서비스업 0. 지원내용: 업체당 최대 5억한도, 4% 이차 보전(간접대출 이자지원) 0. 문의처: 광주경제진흥상생일자리재단 기업성장팀 (☎ 062-531-6332 , 062-956-2641 , 062-956-2642)

  • 부산광역시에서는 지역기업 및 소상공인의 O2O(Online to Offline) 판매지원을 위해 '20. 11월 구축예정인 「부산제품 쇼핑샵(동백상회)」의 입점기업을 모집하고 있습니다.지역 우수기업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부산제품 쇼핑샵 개요 ❍ 매 장 명 : 동백상회 ❍ 매장위치 및 면적 : 부산유라시아플랫폼 1층 105호, 123.21㎡(37평)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210) ❍ 입점대상 : 부산시 소재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우수제품(소비재) ❍ 입점규모 : 30개사 250여 품목 ❍ 입점기간 : 2020. 11월 ~ 2021. 4월(6개월) ❍ 지원내용 : 동백상회 온라인몰 및 오프라인 입점을 통한 판매지원 - 온라인몰(공공모바일 마켓 앱) : 판매수수료 미정 ‣12월 구축예정 - 오프라인몰(동백상회) : 판매수수료 20%내외 업체부담 ※오프라인몰 입점여부와 상관없이 온라인몰 입점은 상시 가능(12월 이후)■ 신청 및 접수 ❍ 모집기간 : 2020. 9. 21.(월) ~ 10. 5.(월) 17:00까지 ❍ 신청방법 : 우수제품 e-플랫폼 기업회원 가입 후 입점신청서 작성하여 이메일 접수 - ① 부산 우수제품 e-플랫폼 기업회원 가입 : http://www.madeinbusan.kr - ② 입점신청서 작성 후 이메일 제출 : phfw20@bepa.kr ❍ 제출서류 - 참가신청서 1부(서식1) - 제품상세소개서 1부(서식2) - 사업자등록증 1부 - 개인정보동의서 1부(서식3) ❍ 접 수 처 : 기업성장지원팀 박희경 과장(051-600-1712, phfw20@bepa.kr)붙임 1. 부산제품 쇼핑샵 입점기업 모집 공고문 2. 제출서류 서식(입점신청서 등)

  • [알림] 2017년도 성장유망중소기업 선정·지원계획 공고 알림 담당부서 : 기업통상과 연락처 : 064-710-2634

  • 첨부: 2018년도 성장유망중소기업 선정·지원계획 공고문 및 신청서

  •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0호의2,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 제15조의2 등에 따른 "명문장수기업" 확인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2019년 7월 1일중소벤처기업부장관 1. 사업개요 □ 장기간 건실한 기업 운영으로 사회에 기여한 바가 크고, 세대를 이어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중소·중견기업을 명문장수기업으로 확인 □ 창업·중소기업 성장의 바람직한 롤 모델을 제시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모범기업을 발굴하여 존경받는 기업문화를 확산 2. 신청 및 접수 □ 신청․접수기간 : 2019. 7. 1(월) 09:00 ~ 2019. 8. 16(금) 18:00 □ 신청방법 : 신청서류 등 제출서류를 중소기업중앙회(중소기업) 또는 한국중견기업연합회(중견기업)에 제출(우편 또는 방문접수) 관련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