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iz중소기업중앙회

보도자료

중소기업중앙회, 「코로나19로 인한 미·중 무역 분쟁 확산에 따른 중소기업 영향 조사」 결과 발표
등록일: 2020.07.08

중기 86.3%, ·중간 코로나19 책임공방으로 무역 분쟁 확산 우려

-중소기업중앙회, 코로나19로 인한 미·중 무역 분쟁 확산에 따른 중소기업 영향 조사결과 발표-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전국의 수출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로 인한 미·중 무역 분쟁 확산에 따른 중소기업 영향 조사결과를 9() 표했다.

 

코로나19로 인한 미·중간 책임공방으로 중소기업 86.3%는 무역 분쟁이 확산 될 것 이라고 답했다. 확산 시 예상되는 지속기간에 대해서는 ‘6개월~1 이내 응답이 45.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3(31.7%)’, ‘6개월 이내(15.7%)’ 순으로 나타났다.

 

·중간 무역 분쟁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중소기업 절반이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51.3%)’라고 답했으며, ‘영향 없음(47.0%)’, ‘긍정적(1.7%)’이 뒤를 이었다.

 

예상되는 피해로는(부정적 영향 응답 기업 154개사, 복수응답) 전 세계 경기 둔화에 따른 수출 감소(71.4%)’, ‘·중 환율전쟁으로 인한 변동성 증가(38.3%)’, 중국 시장 위축에 따른 중국 수출 감소(34.4%)’, ‘중국 내 생산기지 가동률 저하 및 타국 이전 압박(9.7%)’ 순으로 나타났다.

 

대응전략으로는 별도 대응방안 없음(42.0%)’이 가장 많아 대외 리스크 관리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거래처 및 수출시장 다변화(32.7%)’, 경쟁력 강화를 위한 R&D 투자 확대(17.3%)’, ‘환변동 보험 가입 등 환리스크 관리 강화(17.0%)’, ‘생산기지 이전(4.7%)’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중 분쟁 리스크 극복을 위한 정부 중점 과제(복수응답)로는 수출 다변화를 위한 해외시장 정보제공 강화(41.7%)’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해외 마케팅 지원 강화(37.0%)’, 환율 변동 대응 등 외환 시장 안정화(32.3%)’, 제품 경쟁력 강화를 위한 R&D 지원 강화(28.3%)’,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맞춤 전략 수립(16.3%)’, ‘국내 등 생산기지 이전 중장기적 지원(10.7%)’ 순으로 응답했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 ·중간 코로나19 책임공방홍콩안법 통과로 양국 간 갈등이 격화되면서 무역 분쟁확대될 능성이 크다,

 

우리나라의 가장 큰 무역상대국인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 확산은 코로나19로 타격을 받은 수출 중소기업에게 최악의 상황으로, 정부는 시나리오별 중소기업 맞춤 전략을 수립하고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top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