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iz중소기업중앙회

보도자료

2018년 3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
등록일: 2018.02.23

3월 중소기업경기전망지수 90.6, 전월대비 9.0p 상승
- 기저효과에 계절적 비수기 벗어나면서 경기호전 기대 -
- 경영애로로 ‘인건비 상승’이 전월에 이어 최다 응답 -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가 지난 212일부터 220일까지 3,150 소기업을 대상으로 ‘20183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업황전망 중소기업건강도지수(SBHI)가 전월보다 9.0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 이는 제조업에서는 전월대비 기저효과가 발생하였고 3월 이후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경제 긍정심리가 확산되는 한편, 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이 계절적 비수기를 벗어난다는 기대심리가 작동하면서 경기상승 전망을 주도한 것으로 분석된다.

 

<업황전망> 3월 업황전망 중소기업건강도지수는 90.6으로 전월에 대한 기저효과와 계절적 비수기를 벗어난다는 기대감으로 전월대비 9.0p 상승, 전년동월대비 0.6p 상승하였다. 제조업은 전월대비 10.4p 상승한 93.1로 나타났고, 비제조업에서도 전월대비 8.1p 상승하였는데, 건설업이 전월대비 14.4p 상승하고 서비스업이 전월대비 6.5p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업황전망 SBHI >

구 분

’17.3

9

10

11

12

‘18.1

2

(A)

3

(B)

전월비

(B-A)

업황전망 SBHI

90.0

91.7

81.7

91.6

89.1

84.3

81.6

90.6

9.0

업종별

제조업

90.8

90.5

83.9

91.6

86.5

83.9

82.7

93.1

10.4

비제조업

89.4

92.6

80.1

91.6

91.1

84.6

80.8

88.9

8.1

 

·건 설 업

89.5

90.2

80.9

89.1

86.5

78.2

73.2

87.6

14.4

·서비스업

89.3

93.3

79.9

92.2

92.2

86.2

82.7

89.2

6.5

항목별로는 내수판매전망(81.290.5), 수출전망(87.394.2), 영업이익전망(78.386.1), 자금사정전망(76.882.8), 고용수준전망(96.196.4) 등 전체적으로 상승하여, 중소기업인들은 명절로 인해 조업일수가 짧았던 2월에 비해 3월 이후의 경기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경기변동 항목별 전망 SBHI(전산업) >

경기변동 항목

’17.3

9

10

11

12

‘18.1

2

(A)

3

(B)

전월비

(B-A)

변화

방향

내 수 판 매

89.8

91.5

81.2

91.6

88.2

84.4

81.2

90.5

9.3

수 출

91.6

92.1

88.3

95.4

88.3

92.3

87.3

94.2

6.9

영업이익

85.7

88.4

80.3

87.2

84.5

81.0

78.3

86.1

7.8

자 금 사 정

81.6

85.7

79.6

85.5

82.5

80.3

76.8

82.8

6.0

수준

판단

고 용 수 준

95.0

95.4

95.6

96.6

96.5

96.5

96.1

96.4

0.3 

업종별로 제조업은 비금속광물제품(78.0107.4), ‘금속가공제품(81.199.6)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77.394.8) 등 거의 모든 업종에서 상승한 반면, ‘식료품(97.395.0) 업종만 유일하게 하락하였다.

 

비제조업은 계절적 비수기를 벗어난다는 기대감으로 건설업(73.287.6)이 대폭 상승한데 이어, 서비스업(82.789.2) 역시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76.0103.7), ‘숙박 및 음식점업(65.289.3), ‘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74.892.6) 부동산업 및 임대업(90.085.6)을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상승하였다.


<업황실적> ’182 업황실적 중소기업건강도지수(SBHI)75.1로 전월대비 3.0p 하락하였으나, 전년동월대비로는 1.6p 상승하였다. 그 중 제조업은 전월대비 3.3p 하락한 75.2를 기록하였고, 비제조업은 전월대비 2.7p 하락한 75.1을 기록하여 부진하였는데, 이는 건설업이 전월대비 2.6p 하락한 68.7, 서비스업이 전월대비 2.8p 하락한 76.7을 기록한 데 기인하였다.

 

< 업황실적 SBHI >

구 분

‘17.2

8

9

10

11

12

‘18.1

(A)

‘18.2

(B)

전월비

(B-A)

업황실적 SBHI

73.5

80.4

89.6

80.3

86.6

85.2

78.1

75.1

3.0

업종별

제조업

77.8

79.3

89.7

80.2

86.3

83.7

78.5

75.2

3.3

비제조업

70.3

81.2

89.5

80.4

86.9

86.2

77.8

75.1

2.7

 

·건 설 업

67.6

82.7

82.7

85.0

82.4

87.2

71.3

68.7

2.6

·서비스업

71.0

80.8

91.3

79.2

88.1

86.0

79.5

76.7

2.8 

<경영애로> ’182월 중소기업 경영애로(복수응답) 응답을 보면 인건비 상승(59.7%)이 전월에 이어 최다 애로사항으로 조사되었고, 이어 내수부진(56.1%), 업체간 과당경쟁(38.0%), 원자재 가격상승(24.7%) 순으로 나타났다. 전월에 이어 인건비 상승이 중소기업의 최다 경영애로사항으로 조사되었는데, 특히 노동집약적인 업종인 자동차 및 트레일러’, ‘인쇄·기록매체 복제업등 경공업부문의 제조업과 비제조업의 숙박 및 음식점업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 등의 업종에서 인건비 상승의 부담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가동률> ’181월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 72.4% 전월대비 1.0%p 하락 및 전년동월대비 1.1%p 하락하였고, 내수부진과 원자재 가격상승 영향을 많이 받는 소기업은 전월대비 1.5%p 하락한 69.3%, 인건비 상승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은 중기업은 전월대비 0.3%p 하락한 77.0% 나타났다.


<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 추이(%) >

구 분

장기평균

’17.1

8

9

10

11

12

(A)

‘18.1

(B)

전월비

(B-A)

중소제조업

72.1

73.5

72.5

74.2

72.3

73.5

73.4

72.4

1.0

소기업(5~49)

70.0

71.3

70.5

72.1

70.4

71.3

70.8

69.3

1.5

중기업(50인 이상)

76.4

76.5

75.2

77.2

74.8

76.7

77.3

77.0

0.3

<지난 1년 평균치와 비교> ’183월의 전망치와 지난 1년간 분야별 전망평균치와 비교해보면 제조업에서는 경기전반, 생산, 내수, 수출, 영업이익 전망에서는 확대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비제조업의 경우에는 수출전망은 감소하고 경기전반 및 내수 전망치가 지난 1년 평균적인 전망치보다 소폭 확대되었으나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전망구분

제조업 전망치

비제조업 전망치

최근1년 평균

('17.2~'18.2)

2018.3

최근1년 평균

('17.2~'18.2)

2018.3

경기전반

87.3

93.1

87.1

88.9

생 산

89.0

96.0

-

-

내수판매

86.7

93.2

86.7

88.6

수 출

89.7

95.2

94.0

89.4

영업이익

83.0

87.8

84.0

84.9

자금사정

81.9

83.3

82.0

82.4

원 자 재

96.3

94.8

-

-

설 비

104.2

103.0

-

-

재 고

104.2

103.0

-

-

고 용

97.9

97.5

94.6

95.6

 

조사 개요

조사 기간 : 2018. 2. 12. 2. 20.

조사 대상 : 중소기업 3,150(제조업 1,500. 비제조업 1,650)

- 3,046개 회수(제조업 1,435, 비제조업 1,611)

조사 업종 : 표본산업분류 기준 47개 중분류업종(제조업 22, 비제조업 25)

조사 방법 : 웹팩스 및 이메일 조사 병행

작성 기관 : 중소벤처기업부·중소기업중앙회

 

중소기업건강도지수(SBHI : Small Business Health Index)

업종·중소규모별 SBHI = (매우나쁨응답빈도×0다소나쁨응답빈도×50동일응답빈도×100

다소좋음응답빈도×150매우좋음응답빈도×200) / 전체 응답빈도수

2015년 경제총조사 매출액 자료 이용, 가중치를 가중 평균한 종합지수 작성

SBHI = × SBHI

* : 업종별·중소규모별 매출액에 따른 가중치

* SBHI : 각 업종별·중소규모별 경기지수

 

참고사항

 

통계표상 평균가동률의 장기평균은 20101201712월의 평균임

제조업 계절조정지수 : X12-ARIMA방법론을 사용한 계절조정지수로, 제조업 전망, 실적, 평균가동률상 매년 반복되어 나타나는 계절요인을 제거하여 단기지수 비교시 참고자료로 활용

 

top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