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iz중소기업중앙회

‘ 감사 ’ 의 검색결과는 총 936건 입니다.

정보마당 424 전체보기

  •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의 조세지원제도 이용 활성화를 위해, 최근 제도별 개정사항을 반영하여 "2025년 중소기업 조세지원제도 안내책자"를 제작하였습니다. 관심있는 기업에서는 동 책자의 내용을 참고하시어 지원제도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십니까,중소기업중앙회 통상정책실입니다.미국 상무부(CBP) CSMS(Cargo Systems Messaging Service)에서 알루미늄 파생상품 관세 부과 관련 새로운 지침을 발표하여 공유드립니다.향후 알루미늄 파생상품의 경우, 미국 수입자가 수입신고 시 주조/제련국을 반드시 기입해야 합니다.기입하지 않거나 '주조/제련국 미상'으로 신고할 경우, '25.6.28(토) 통관 건부터 알루미늄 함량분에 대하여 200% 관세가 적용됩니다.참고하실 수 있도록 CSMS 공지 원문과 번역본을 첨부하여 드립니다.감사합니다.□ 문의처ㅇ 산업통장자원부(통상법무기획과): 044-203-5942ㅇ KOTRA(해외진출상담센터):1600-7119ㅇ 한국무역협회(국제무역통상연구원): 02-6000-5850ㅇ 대한상공회의소(국제통상본부): 02-6050-3685

지원사업 47 전체보기

상담센터 1 전체보기

  • 공익신고 공익신고 안내 공익신고란 공익침해행위가 발생 또는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사실을 신고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국민의 건강과 안전, 환경, 소비자이익, 공정한 경쟁 등 공익을 침해하는 행위를 소관 행정·감독기관 등에 신고하는 것이며, 「공익신고자 보호법」에 따라 신고의 조사·처리 과정에서 신고자의 비밀이 보호됩니다. 현재 「공익신고자 보호법」에 따른 공익침해행위는 식품위생법, 농산물품질관리법 등 467개 법률의 벌칙 또는 영업정지, 인허가취소 등의 행정처분 대상이 되는 행위를 말하며, 국민신문고 공익신고 창구에서는 공익침해행위에 대한 지도·감독·조사 등의 권한을 가진 중앙부처·지자체·교육청 및 국민권익위원회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누구든지 공익침해행위를 알게 된 때는 아래에 열거된 공익신고 접수기관에 신고서를 제출하는 방법으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근거법령 공익신고제도 안내 다운로드 공익신고자 보호법 바로가기 공익신고자 보호법 시행령 바로가기 공익침해행위 예시 01 건강분야 불량식품 제조·유통 등 02 환경분야 폐기물 불법 매립 등 03 안전분야 가짜 냉매가스 판매 등 04 소비자이익분야 의약품 리베이트 등 05 공정경쟁분야 가격 담합 등 접수기관 국민권익위원회, 수사기관, 국회의원 공익침해행위를 하는 사람이나 기관·단체·기업 등의 대표자 또는 사용자 공익침해행위에 대한 지도·감독·규제 또는 조사 등의 권한을 가진 행정기관이나 감독기관 공익침해행위와 관련된 법률에 따라 설치된 공사ㆍ공단 등 공공단체 처리절차 공익신고 접수 60일 이내에 사실 확인을 마친 후 조사·수사기관에 이첩하고 결과를 신고자에게 통보 공익신고 방법 01. 국민권익위원회 신고 * 신고는 기명의 문서로서 하여야 되므로 전화로는 신고하실 수 없습니다. 온라인 신고 상담신청 우편 / 방문 (03740)서울특별시 서대문구통일로 87(미근동 257) 임광빌딩 신관 1층 부패공익침해신고센터 팩스 044. 200. 7972 부패 / 공익 신고모바일 App 02. 중소기업중앙회 신고 전화 / 팩스 Tel.  02. 2124. 3383Fax.  02. 782. 5983 온라인 신고 신고서 및 신분공개 등 동의여부 확인서를 다운받아 중앙회 감사실 이메일(audit@kbiz.or.kr) 제출 신청서 다운로드 우편 / 방문 (07242)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30 중소기업중앙회 감사실 부패∙공익신고센터 공익신고자보상금 지급사유 내부 공익신고로 인하여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직접적인 수입의 회복이나 증대 또는 비용의 절감 등을 가져오거나 그에 관한 법률관계가 확정된 때, 공익신고자는 보상금 지급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공익신고자 보호법 제26조 제1항) 보상금 지급기준 개별 공익침해행위로 인하여 산정된 보상금이 20만원 미만인 경우에는 지급하지 아니하고, 보상금의 지급 한도액은 20억원임 부과 또는 환수 등을 통하여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직접적인 수입의 회복 또는 증대를 가져오거나 그에 관한 법률관계가 확정된 금액 보상금 지급기준 보상대상가액 지급기준 신청기한 1억원 이하 20%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수입의 회복이나 증대에 관한 법률관계가 확정되었음을 안 날부터 2년 이내, 그 법률 관계가 확정된 날부터 5년 이내 1억원 초과 5억원 이하 2천만원 + 1억원 초과금액의 14% 5억원 초과 20억원 이하 7천6백만원 + 5억원 초과금액의 10% 20억원 초과 40억원 이하 2억2천6백만원 + 20억원 초과금액의 6% 40억원 초과 3억4천6백만원 + 40억원 초과금액의 4% * 신고자 보호·보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국민권익위원회 청렴포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공익신고

KBIZ소개 161 전체보기

지역본부 188 전체보기

직원업무 9 조직도 및 담당직원

직원업무
소속부서 이름 직위 메일주소 회사전화 담당업무
임원실 이현호 감사 hyeon213@kbiz.or.kr 02-2124-3009 감사
감사 이찬민 부부장 lcmin@kbiz.or.kr 02-2124-3373 조합 감사업무
감사 강지용 팀장 jykang@kbiz.or.kr 02-2124-3371 협동조합감사
청렴문화팀 김예민 과장 yaemin@kbiz.or.kr 02-2124-3384 감사원, e감사, 공직윤리
감사 이효선 부부장 regina_lee@kbiz.or.kr 02-2124-3372 조합 감사
정보화운영실 김민수 과장 mskim91@kbiz.or.kr 02-2124-4019 KBIZ두레, KBIZDooray!, e감사
정보화추진실 이주형 과장 jutaeng@kbiz.or.kr 02-2124-3076 두레, e감사, 메일
감사 이창희 실장 chlee@kbiz.or.kr 02-2124-3370 감사업무, 청렴업무 등
청렴문화팀 이준혁 팀장 23no1@kbiz.or.kr 02-2124-3381 내부감사 업무 총괄청렴, 반부패, 공직기강 업무 총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