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117 건
-
미국 상무부의 대미투자촉진프로그램인 SelectUSA는 미국 에너지부와 재무부 연사들을 모시고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 (IRA) 및 미국 에너지부 프로그램을 설명하는 웨비나를 한국시간 기준 7월 18일/19일/20일에진행합니다. 아래 세 세션은 모두 동일한 내용으로 구성되며, 전세계 기업인들이 편한 시간에 웨비나에 참석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습니다. 1시간동안 진행되는 패널토론에서는 아래 내용이 논의됩니다* Select USA : https://www.trade.gov/selectusa-homeㅇ 토론내용 - 어떤 보조금이 가능한가요? - 리베이트 및 인센티브는 언제 가능한가요? - 미국 에너지부의 대출 프로그램 본부 (LPO)는 자금 조달에 관심이 있는 기업들과 어떻게 협력하고 있나요? - IRA 시행 일정은 어떻게 됩니까? - 일반적으로 기업에 제공되는 대출금은 어느정도인가요? - 외국기업이 IRA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ㅇ 일정 및 등록링크: (3세션 모두 동일한 내용으로 구성됩니다. 편한 시간대에 등록해 주십시오.) - 7월 18일(화) 오전 10시 (ET)/ 한국시간 7월 18일(화) 오후 11시https://trade.webex.com/webappng/sites/trade/meeting/register/e35e568bd6e64bc1a2c596eef120f6d4?ticket=4832534b00000004f2545fba74bfce1100191d5b2a0bb474508fcba514f8b801f1dcca2d21d238f0×tamp=1688996882500 RGID=rc8d6df3094040808dc33c1d8f405abe6 - 7월 19일 (수) 오후 8시 (ET)/ 한국시간 7월 20일(수) 오전 9시https://trade.webex.com/webappng/sites/trade/meeting/register/cd508f35385b47a38c16491163b29199?ticket=4832534b000000046d7e1b485ac1c9d3f78a1d71d6f24d0427e6a5da5829712151e855abd72435be timestamp=1689555730486 RGID=r5b6142900b83ab5089caf2b31103e182* 접속이 안될 시, 문의처(02-2124-3164)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IRA 및 미 에너지부의 프로그램에 관심있는 기업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정보마당 > 유관기관 공지 2023.07.11 -
서울시에서 숙련기능인력[E-7-4] 신청자를 모집하오니 아래 내용을 참고 바랍니다.신청 요건 및 신청 양식은 붙임1을 참고 바랍니다.1. 대상자 - 근로자 : E-9 (비전문취업), E-10 (선원취업), H-2 (방문취업) 소지자 - 사업장 : 제조업, 건설업, 뿌리산업, 농․축산업 등(서울시 소재) 2. 신청기간 : 공고일~2025.12.26.(금)3. 신청방법 : 방문 또는 이메일 신청 - 8개 센터 방문 (서울글로벌센터 및 외국인 주민센터 7개소) - 이메일 접수 (seoulglobalcenter@naver.com) 4. 지원내용 : E-7-4 (숙련기능인력)로 체류자격 변경 추천 (서울시 추천 시 30점 가점)
정보마당 > 유관기관 공지 2025.04.10 -
안녕하십니까, 중소기업중앙회 정책총괄실입니다. 본회는 금융 및 수사당국, 여성·노인 등 국민대표 10개 단체와 함께 '안심금융생활 국민네트워크'를 출범하고(`16.6.14)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하는 불범금융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보이스피싱 예방 동영상' 링크를 참고하셔서 불법금융 피해를 입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최강창민 편 : https://youtu.be/tIBxiF6quCA*최시원 편 : https://youtu.be/E-FwMp7Fjsc*동해편 : https://youtu.be/tWVjw-JGM6g
정보마당 > 유관기관 공지 2016.07.15 -
중기중앙회, 법무부와 「외국인 고용애로 해소 간담회」 개최 □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와 법무부(장관 박상기)는 9월 12일(수) 14시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외국인 고용애로 해소 중소기업인 간담회」를 개최했다. ㅇ 이날 간담회에는 법무부 차규근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과 체류관리과장 등이 참석했으며, ㅇ 중소기업계에서는 △이재원 중소기업중앙회 고용지원본부장 △양태석 경인주물공단사업협동조합이사장 △황인환 서울자동차정비업협동조합이사장 △곽동재 경기북부환편공업협동조합이사장을 비롯해 업종별 중소기업 대표 30여명이 참석했다. □ 간담회를 통해 △외국인 숙련기능인력 점수제 비자(E-7-4) 제도 개선 △뿌리산업 외국인근로자 체류기간 연장 △출입국・외국인청 통합시스템 도입 △인천출입국・외국인청 사증심사 신속처리 요청 △외국인등록 인터넷예약제와 방문처리 병행 시행 △자동차정비업 판금・도장분야 특정활동(E-7) 허용 등 6건의 과제가 논의됐다. □ 이재원 중소기업중앙회 고용지원본부장은 “내국인 근로자들의 생산직 취업기피로 중소 제조업 생산현장에서는 인력난이 심각하고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실정이다”며, ㅇ “최근 최저임금 인상 및 근로시간 단축 등 고용환경 변화로 인력수급이 힘들어 고용허가제 인력 쿼터 확대와 더불어 외국인 숙련기능인력 쿼터 확대도 전향적으로 검토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붙 임 : 1. 간담회 계획 및 건의자료 각 1부. 2. 행사사진
정보마당 > 보도자료 2018.09.12 -
중소기업중앙회, 2022년 외국인력 활용 관련 종합애로 실태조사 결과 발표- 외국인근로자 도입 규모 확대, (준)숙련인력에 대한 수요 증가 -□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은 외국인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중소제조업체 1,0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외국인력 고용 관련 종합애로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ㅇ 응답 기업들은 내국인 취업 기피, 주52시간 근무제 시행 및 인구절벽에 따른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인해 평균 5.4명의 외국인근로자 추가 고용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조사에 따르면 동일 조건의 내국인근로자에 비해 외국인근로자의 생산성은 고용초기(3개월 미만)에는 53.8% 수준이나 장기간(3년 이상) 근무하는 경우 93.0% 수준까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ㅇ 외국인근로자의 생산성 수준 변화를 고려할 때, 입국 이전 및 입국 이후 초기 한국어능력 및 직무능력 수준 제고를 통해 생산성 향상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대다수의 중소기업(81.0%)은 현 외국인근로자의 체류기간(최대 9년8개월)이 부족하다는 입장으로, 응답 기업의 62.9%가 3년 이상의 추가 연장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 기술을 보유한 전문인력(E-7) 고용의사에 대한 질문에, 응답업체의 31.9%는 고용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5년 이상의 근무를 통해 검증된 단순기능직(E-9) 인력의 숙련기능 점수제 인력(E-7-4)의 전환을 희망(71.2%)했다. □ 중소기업들은 현 고용허가제의 가장 시급한 개선과제로 “불성실한 외국인력에 대한 제재장치 마련(사업장 변경 횟수 축소 등)”이라고 답변했으며, ㅇ 입국하자마자 친인척이 있는 지역으로 근무처 변경을 시도하거나 높은 급여를 요구하며 업무에 불성실하게 임하는 등의 사례에 대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입국 후 6개월 미만에 22.5%, 6개월~1년 미만에 19.8%의 외국인근로자가 근무처 변경(출처: 법무부 이민자 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2020년) ※ 기업의 외국인근로자 관리 시 주요 애로사항 : ①문화적 차이(의사소통 등)(44.0%), ②잦은 사업장 변경 요구(23.0%), ③인건비 부담(23.0%) □ 이명로 중기중앙회 스마트일자리본부장은 “미숙련 직종에 대한 국내근로자 취업기피가 심화되어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기업현장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연간도입 규모 확대 등 탄력적인 제도운영이 필요하다”고 설명하며, ㅇ “동시에 외국인근로자들의 낮은 생산성을 개선하기 위한 직업훈련 강화와 함께 기업에 귀책사유가 없음에도 부당하게 사업장 변경을 요구하는 근로자들에 대한 불이익 조치 등 균형 있는 정책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붙임 : 조사 결과보고서 1부. 끝.
정보마당 > 보도자료 2023.01.18 -
2025 서울시 해외인재·국내기업 상시매칭 프로젝트 글로벌 인재와 서울의 혁신기업을 연결합니다서울시는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AI, 소프트웨어(SW), 로봇, 핀테크, 바이오, 반도체, 창조산업 등 서울의 핵심 전략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해외 우수인재 유치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주요 내용 해외 우수 인재와 서울 소재 중소·중견기업 간 상시 채용 매칭 지원 1차 서류 검토, 면접, 채용 확정까지 전 과정 전문 컨설팅 제공 비자 발급, 정착, 한국생활 지원 등 사후관리 서비스 연계 대상 기업 서울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견기업,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외국인 채용 의사가 있으며, AI, SW, R D, 제조, 디자인, 기획 등 분야 인력 수요 기업 지원 혜택 해외인재 채용 공고의 현지 홍보 및 이력서 매칭 E-7 취업비자 및 외국인등록증 발급 컨설팅 전액 무료 지원 채용된 외국인에 대해 비자 및 외국인등록증 발급비용 최대 20만원 실비 지원 외국인 대상 한국어 교육, 정착 프로그램, 문화 적응 교육 등 통합 지원관련 링크 : https://seoultalenthub.com/home
정보마당 > 유관기관 공지 2025.06.04 -
2016년도 민․군겸용기술개발사업의 주관연구기관 선정을 위한 제안서를 공모하오니,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 및 기업은 절차에 따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ㅁ연구개발계획요구서(RFP) 설명회 ㅇ 일시 : 2016년 7월 14일(목) 14:00~18:00 ㅇ 장소 : 민군기술협력센터 8층 회의실 ※ 7월12일 까지 출입조치를 위한 인적사항 통보 필요(연락처 : 042-607-6038) ㅁ신청방법 ㅇ 전산등록 : www.cmtc.e.k - 기 한 : 2016년 7월 1일(금) ~ 2016년 8월 1일(월) 16:00까지 - 등록서류 . 연구개발신청서 . 연구개발계획서 ㅇ 서류접수 - 제출서류를 동봉하여 우편 접수 또는 민군기술협력센터에 방문 접수 - 기 한 : 2016년 7월 1일(금) ~ 2016년 8월 1일(월) 18:00까지 - 제출처 : (우305-150) 대전시 유성구 반석로 7(반석동 640-2) 애니빌프라자 8층 민군협력진흥원 민군기술협력센터 사업관리담당(042-607-6033, 6035) ※ 제출서류의 보완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전산등록 및 서류접수는 최소 마감 7일 전에 신청할 것을 권장함 ㅇ 제출서류 - 연구개발신청서 1부 - 연구개발계획서 10부 - 신청기관 사업자 등록증 사본 각 1부 - 주관연구기관이 민군기술협력사업촉진법 제7조 2항 5호에 따른 기업부설연구소인 경우 기업부설연구소 증빙서 1부 - 신청기관 중 영리기관인 경우, 최근 2년간(2014년 및 2015년)「회계감사보고서 또는 재무제표」각 1부 자세한 사항은 첨부공고문 참조
정보마당 > 유관기관 공지 2016.07.04 -
환경부에서는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19.1.1.)에 따라, 살생물물질 및 살생물제품의 사전승인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법 시행 이전 국내 유통된 기존 살생물물질을 '19.6.30 일까지 신고한 제조 및 수입자는 승인유예를 부여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살생물물질 신고*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을 지원하고자 권역별 이동신고센터 다음과 같이 운영 예정이오니 적극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18조에 따라 법 시행 전('18.12.31.)에 국내에 유통된 살생물물질에 대해 신고하는 경우 승인유예기간 부여 일시 및 장소 지역 일자 시간 장소 서울 6.17( 월 ) 10 시 ∼ 17 시 삼경교육센터 부산 6.19( 수 ) 11 시 ∼ 17 시 수 스페이스센터 대전 6.21( 금 ) 11 시 ∼ 17 시 화학물질안전교육센터 대구 6.24( 월 ) 11 시 ∼ 17 시 수 스페이스센터 경기 6.25( 화 ) 11 시 ∼ 17 시 수도권대기환경청 1. 신청 방법 : 참가신청서(첨부파일 3) 작성 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생활화학제품안전센터 jh_ha 2720@keiti.e.k 혹은 FAX.02-2284-1889 로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2. 문의 : 1800-0490(내선 6, 7번), jh_ha 2720@keiti.e.k 3. 준비사항 : 현장 신고를 위해서는 신고기업 확인을 위한 ' 사업자등록증명'또는 '법인 등기사항증명서'사본 , 직원 여부확인을 위한 '4대보험 가입내역확인서'사본이 필요하오니 준비하여 방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4. 기타사항 : 현장 접수도 가능하오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사전 신청 부탁드리겠습니다. 붙임1. 기존살생물물질_찾아가는_이동신고센터_운영알림 공문 붙임2. 이동신고센터_운영계획 붙임3. 참가신청서 끝.
정보마당 > 유관기관 공지 2019.06.17 -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서는 산업 및 에너지 협력개발지원사업 운영요령에 의거, 「2022년도 산업통상협력개발지원사업(ODA) 및 에너지산업협력개발지원사업(ODA)」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이에 다음을 참고하시어 필요하신 기업은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 사업개요 ㅇ 사업목적 : 개도국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시설, 기자재, 기술협력, 컨설팅 등 개발협력(ODA)을 지원, 관련 국내 산업 및 에너지 기업의 신흥시장 진출, 해외 프로젝트 수주 등 지원 ㅇ 지원내용 : 상세기획 및 타당성조사 지원 (지정공모) ㅇ 지원과제 : 산업 분야 16개, 에너지 분야 11개 중 제안 가능 * 지원국가 및 분야 붙임 참고 ㅇ 지원기간 : 협약체결일로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ㅇ 지원규모 : 75백만원 내외 ㅇ 지원일정 : 공고마감(7.21) → 선정평가(8월 초 )→ 사업 수행(계약체결일로부터 사업종료 시까지) □ 신청방법 ㅇ 신청기간 : ~`22.7.21(목) 18:00 ㅇ 신청방법 : e나라도움 (www.gosims.go.kr)을 통한 접수 ㅇ 신청서류 ① 사업계획서 1부 ② 신청 자격 적정성 확인서(붙임 3-2. 서식 제1호-1) ③ 수행기관 대표의 참여의사 확인서(붙임 3-2. 서식 제1호-2) ④ 참여인력의 개인정보 조회 동의 및 청렴서약서(붙임 3-2. 서식 제1호-3) ⑤ 법인(신용) 정보 조회 동의서(붙임 3-2. 서식 제1호-4) ⑥ 수행기관(주관․참여기관) 사업자등록증 각 1부 (기관별 제출) ⑦ 수행기업의 회계감사보고서 또는 재무제표 (기업만 제출) □ 문의처 ㅇ 온라인 접수 관련 문의 : e-나라도움 사용자 지원센터 (☎ 1670-9595) ㅇ 공고 내용 등 사업 관련 문의 : KIAT 산업기술ODA팀 어성윤 책임연구원(☎ 02-6009-3947 / KIAT_ODA@kiat.or.kr) 감사합니다.
정보마당 > 유관기관 공지 2022.06.28 -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서는 산업 및 에너지 협력개발지원사업 운영요령에 의거, 「2022년도 산업통상협력개발지원사업(ODA) 및 에너지산업협력개발지원사업(ODA)」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이에 다음을 참고하시어 필요하신 기업은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 사업개요 ㅇ 사업목적 : 개도국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시설, 기자재, 기술협력, 컨설팅 등 개발협력(ODA)을 지원, 관련 국내 산업 및 에너지 기업의 신흥시장 진출, 해외 프로젝트 수주 등 지원 ㅇ 지원내용 : 상세기획 및 타당성조사 지원 (지정공모) ㅇ 지원과제 : 산업 분야 16개, 에너지 분야 11개 중 제안 가능 * 지원국가 및 분야 붙임 참고 ㅇ 지원기간 : 협약체결일로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ㅇ 지원규모 : 75백만원 내외 ㅇ 지원일정 : 공고마감(7.21) → 선정평가(8월 초 )→ 사업 수행(계약체결일로부터 사업종료 시까지) □ 신청방법 ㅇ 신청기간 : ~`22.7.21(목) 18:00 ㅇ 신청방법 : e나라도움 (www.gosims.go.kr)을 통한 접수 ㅇ 신청서류 ① 사업계획서 1부 ② 신청 자격 적정성 확인서(붙임 3-2. 서식 제1호-1) ③ 수행기관 대표의 참여의사 확인서(붙임 3-2. 서식 제1호-2) ④ 참여인력의 개인정보 조회 동의 및 청렴서약서(붙임 3-2. 서식 제1호-3) ⑤ 법인(신용) 정보 조회 동의서(붙임 3-2. 서식 제1호-4) ⑥ 수행기관(주관․참여기관) 사업자등록증 각 1부 (기관별 제출) ⑦ 수행기업의 회계감사보고서 또는 재무제표 (기업만 제출) □ 문의처 ㅇ 온라인 접수 관련 문의 : e-나라도움 사용자 지원센터 (☎ 1670-9595) ㅇ 공고 내용 등 사업 관련 문의 : KIAT 산업기술ODA팀 어성윤 책임연구원(☎ 02-6009-3947 / KIAT_ODA@kiat.or.kr) 감사합니다.
정보마당 > 유관기관 공지 2022.06.28